동시다발 악재에 부동산·주식·코인 등 자산시장 불안 커져

사진/pixabay
사진/pixabay

중국 헝다그룹의 파산 우려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금리 인상, 전방위 대출 규제 등 잇단 악재에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이들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져나오면서 부동산과 주식·코인 등 자산시장에 충격을 가할 수 있어서다. 글로벌 긴축 움직임에 자산시장의 거품 붕괴가 본격화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하고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24일 증권가에서는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이 채무 불이행을 넘어 파산할 경우 중국의 경기 경착률 리스크가 커지면서 국내 경기는 물론 금융시장에 대한 불확실성도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350조원이 넘는 부채를 안고 있는 헝다그룹은 중국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베일에 가려져 있던 중국 대기업의 부실 문제가 표면화하면 금융부실이 여기저기서 떠져나올 수 있는 데다 이 기업이 안고 있는 외화 부채는 국제 금융시장에 도미노 충격을 미칠 수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헝다그룹 디폴트 사태가 현실화된다면 중국 경기의 냉각, 즉 경기 경착륙 리스크는 커질 수밖에 없고, 부동산 시장의 냉각이 각종 투자와 부동산 관련 소비재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 추가적 경기 하향 요인이 강해졌다"며 "중국 영향을 많이 받는 한국 자산(원화 포함)과 아시아 주식시장에 좋은 소식은 아니다"고 말했다.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점도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22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1월부터 테이퍼링에 들어갈 수 있음을 시사했고, 점도표에서는 18명의 연준 위원 중 9명이 내년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해 2023년보다 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열렸다.

연준의 테이퍼링이나 조기 금리 인상이 국제 금융시장에 지난 2013년 '긴축 발작'과 같은 패닉을 몰고 올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달러 자금 이탈로 신흥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데 이어 10월이나 11월에 추가로 0.25%포인트 인상을 예고해 놓고 있다.

여기에 가계부채와의 전쟁을 선포한 금융위원회는 부동산대출 조이기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금융위는 금융권의 가계부채 증가율을 6% 내에서 묶기로 했지만 이미 5%가 뚫렸다. 강력한 대출 억제책이 추가로 나오지 않을 경우 마지노선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 "부동산·주식·코인시장 조정 가능성…거품 붕괴 우려"

국내외 금융시장과 정책 당국의 움직임은 코로나19 이후 극심해진 실물 경제와 자산시장의 괴리, 즉 금융 불균형을 바로잡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하지만 금융의 비정상을 정상화하는 과정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돈을 푸는 과정에서 빚어진 자산 거품이 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앞서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23일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와 그에 따른 디레버리징(부채 감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중국 헝다그룹과 같은 시장 불안과 불확실성이 급격히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는 "코로나 이후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부채가 너무 많이 증가했고 채권을 비롯해 주식, 부동산 가릴 것 없이 자산시장은 모두 거품이 부풀어올랐다"며 조만간 큰 충격이 올 수도 있음을 경고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는 금리가 좀 올라도 기업실적이 받쳐주고 경기가 좋다는 점을 빌미로 자산시장이 버텼는데 경제지표가 나빠지면 거품이 붕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자산시장이 조정을 받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 유동성 자금을 확보하고 좀 더 안전한 자산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