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토돈·페이스북·레딧 등 대안 플랫폼으로 거론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트위터를 인수한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의 연이은 '기행'이 화제다. 이용자들은 머스크의 행보에 불만을 표하며 연일 트위터를 떠나는 추세다. AFP통신 등 외신은 20일(현지시각) 트위터 이용자들 사이에서 '트위터가 없어진다면 생겨날 세계'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이달 초 직원 절반을 해고하고 사무실까지 갑작스럽게 폐쇄했다. 또 팔로워들의 투표를 거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을 복원하는 등의 행보로 이용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트위터에서는 '#트위터의 명복을 빕니다'(#RIPTwitter), '#트위터 안녕'(#ByeTwitter) 등 해시태그가 인기를 모으며 '트위터 없이 생활하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한 각종 밈(인터넷 유행 콘텐츠)'들도 유행 중이다.

트위터가 없어져도 일상생활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과 광범위한 의견 피력 창구가 마땅치 않은 이들에겐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주장이 오고가며 이용자들끼리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트위터 하루 접속자 수는 2억3700만명 규모로 하루 접속자 수가 20억명에 달하는 페이스북에 비해선 적은 수치다.

일일 접속자 수가 10억명에 이르는 틱톡이나 3억6300만명이 접속하는 스냅챗보다도 인기가 떨어진다.

뉴욕의 사업가 스티브 콘은 "트위터는 중요하지 않다. 세계는 트위터 없이도 잘 돌아간다"고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적었다.

그러면서 "거의 모든 트윗이 1%의 계정에서 업로드 되고 있다"며 "일반적인 사람들은 트위터에 로그인조차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반면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트위터가 없어서는 안 될 플랫폼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었다.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SC) 아넨버그 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스쿨 캐런 노스 교수는 "유명세가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잘 알려지지 않는다"며 그들 입장에서 트위터는 "뭔가를 알릴 기회"라고 주장했다.

미 싱크탱크 중동연구소(MEI) 선임연구원 찰스 리스터는 특히 사회 갈등이나 사회운동, 정치탄압 등 상황에서 트위터가 "진실을 널리 퍼트리는 중앙 플랫폼 역할을 한다"고 파악했다.

다만 그는 지금까지 트위터가 체제를 선전하거나 가짜뉴스에 악용되지 못하도록 하는 통제 시스템을 잘 발전시켜 왔지만 최근 머스크 인수로 관련 인력 3분의 2가량이 트위터를 떠났다는 점을 꼬집었다.

리스터는 그럼에도 "좋은 정보이든 나쁜 정보이든 정보가 사라지는 건 '나쁜 일'로 정의된다"고 말했다.

또 트위터가 없어진 세상은 언론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견 역시 제기됐다.

노스 교수는 "트위터는 사실 사회 네트워크라기보다 뉴스와 정보 네트워크"라며 최근 인력과 예산이 줄어드는 언론사들 입장에서는 트위터가 중요한 취재원이라고 설명했다.

메릴랜드대학 연구원 캐롤라인 오르는 트위터가 "정보와 네트워킹, 지침, 실시간 업데이트, 지역사회 원조뿐 아니라 허리케인, 산불, 전쟁, 사건, 테러, 총격 등의 중요한 정보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올해 이란을 뒤덮은 대규모 반정부 시위는 트위터를 통해 수많은 시위 장면이 확산되며 언론에 보도됐고 주요 정치인들의 발언들도 트위터로 인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트위터를 대체할 또 다른 소셜미디어(SNS) 플랫폼을 논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리스터는 페이스북을 예로 들었지만 "다소 구시대적"이라고 평가했다.

'마스토돈' 등도 트위터를 대신할 새로운 SNS 플랫폼으로 거론됐다.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마스토톤은 가입자가 20만명 이상 크게 증가했다. 다만 애리조나주립대 마크 하스 교수는 마스토돈 등의 소규모 플랫폼이 "트위터가 만들려던 '광장'으로 발전하지는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레딧 역시 대안 매체로 거론됐지만 노스 교수는 "파편화되고 어수선한 디자인은 트위터의 편의성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마케팅 및 영업 부문에 더 많은 인력 감축을 지시했다. 실제로 주당 80시간·재택근무 폐지 등 고강도 근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회사를 떠나라는 압박에 직원 1200명이 추가로 회사를 떠난 바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