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신문=박성대 기자】 충청남도는 올해 59개 사업에 2,538억원을 들여 5만3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13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일자리 창출을 올해 도정의 주요과제로 선정하고 일자리종합대책을 마련 노사민정협의회를 중심으로 민·관·산·학 네트워크를 통해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목표 6만3천개에 실적 9만1천개로 144% 초과달성한 것에 비해 다소 하향 조정된 것으로, 유럽발 재정위기와 국내 경기둔화를 감안 내실있고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실업 해소를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가칭 ‘청년일자리 창출 재원 조성 및 지원조례’를 제정을 검토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날 도가 밝힌 일자리 창출 기본방향은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안정지원, 구인구직 미스매치 해소, 사업간 시너지효과 도모 등 코디기능 강화 등이고, 5대 중점추진과제로 ▲청년일자리 확충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사회적기업 육성지원 ▲외자 및 기업유치를 통한 민간고용 확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을 추진한다.

분야별로 보면 ▲청년일자리 확충을 위해 293억원을 투입해 3천31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실업률을 6% 수준으로 하향 관리할 계획이다.

세부 사업으로는 청년창업지원, 전문인력양성, 중소기업 청년인턴, 특성화고 해외인턴, 일취월장123 등을 추진하고 청년일자리 늘리기 운동 전개, 청년고용촉진을 위한 청년고용우수기업 인센티브 지원시책, 취업박람회 개최 등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취업취약계층인 장애인, 여성, 노인, 지역실업자 등의 일자리 대책으로는 312억원을 들여 1만6천806개 일자리를 마련해 저소득층 생계안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장애인 일자리 분야는 36억원을 투입해 복지일자리, 행정도우미, 시각장애인안마사 파견, 채용박람회 및 일자리알선 등 764개의 일자리를 제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사회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여성 일자리 분야는 92억원을 들여 경력단절여성 인턴·훈련 650개(새일여성 인턴 150, 직업교육훈련 500),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일자리 2천705개(아이돌보미 650, 다문화가족 정착 및 자녀양육 236, 방과후 아동 돌봄교사 146, 의료급여관리 28, 보건소 방문 건강관리 163, 산모 신생아 도우미 100,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1,134), 경력단절여성 일자리알선 1천350개 등 4천705개를 마련해 직장과 가정이 양립하고 소득이 증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베이비부머 은퇴와 귀농인구의 증가 등 최근 노인일자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사회봉사 참여 등 공익형 일자리를 제공하고 수익형 일자리사업인 시장형과 파견형 일자리 참여를 통해 노후생활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171억원을 투입해 1만1천107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

휴폐업 영세자영업자와 실직자 등에 대해서는 직업훈련 등을 통해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역훈련기관과 연계하여 230명에게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지역자원을 비즈니스와 연계해 지역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육성사업도 올해 50개를 지정해 1천378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충남사회적기업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해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의 경영안정과 사업모델을 발굴·지원할 계획이다.

▲지역소득 및 고용효과가 큰 우량기업 유치활동을 통해(외자 500만불이상 8개, 우량기업 500개) 1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유치기업이 지역에 정착 토착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와 기업애로 지원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미래의 일자리 창출기반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도 일자리종합센터를 중심으로 16개 시군의 일자리센터와 함께 민간기업의 채용정보와 경영정보 등을 특성화고와 각 대학교에 제공하고, 지역별 대상별 특성화된 취업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청년층의 실업난 해소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계획이다.

맹부영 도 일자리경제정책과장은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핵심 목표”라며 “복지와 일자리 연계 강화를 위해 시군 일자리센터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의 민간부문 확산과 장시간 근로개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성대 기자 webmaster@smedaily.co.kr  

- Copyrights ⓒ 중소기업신문 (www.smedail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