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신문=김두윤 기자] 신세계그룹의 '외유내강' 전략이 유통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밖으로는 '상생'의 기치를 내걸며 '갑'의 이미지 희석에 나서면서도 안으로는 '힘있는'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를 영입하면서 신세계가 써내려온 행보에서 불거질 수 있는 '외풍'에도 만전을 기하는 모양새다.

지난해 신세계는 '시련의 해'를 보냈다. 경제민주화 바람이 거세지면서 생존위기에 몰린 골목상권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거칠 것없는 영토확장에 나섰던 유통재벌들은 '공공의 적'이 됐다. 특히, '일감몰아주기''불법직원사찰' 등의 문제로 이어진 검찰수사로 신세계그룹과 정용진 부회장 등 오너일가는 '검찰수사 단골손님'이라는 오명까지 안았다.

시련이후 신세계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 신세계의 변화는 안과 밖에서 다른 양갈래의 전략을 취하는 모양새다.

먼저 신세계는 '상생'을 앞세우며 그동안 구축된 '갑'의 이미지희석에 힘쓰고 있다. 최근 이마트가 발표한 납품사 지원책이 대표적이다. 최근 이마트는 대금지급일을 종래 당겨지급하고 협력사에 부담을 전가시켜온 판매장려금도 폐지키로 했다. '갑'의 권위를 버리고 납품사를 배려해 동반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주목되는 변화는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 영입이다. 신세계그룹은 법조계와 세무, 공정거래위원회, 감사원 등 소위 4대 권력기관 출신을 중심으로 사외이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신세계의 7개 상장계열사에는 총 17명의 사외이사가 영입됐다. 재계 출신 2명을 제외한 나머지 15명은 모두 고위 관료 출신이다. 그룹측은 전문성 등을 고려해 적임자를 찾다보니 그렇게됐다는 입장이지만, 이에따라, 신세계그룹은 국내기업들중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은곳이 됐다.

그중 지주사겪인 신세계는 손영래 전 국세청장을 비롯해 손인옥 전 공정위 부위원장, 조근호 전 법무연수원장, 김종신 전 감사원장 직무대행 등 4명의 사외이사를 두고 있다. 4대 권력기관 출신이 한 명씩 포함된 셈이다. 그중 손 부위원장은 신세계의 인천종합터미널 관련 가처분 신청에서 법률자문을 맡았던 법무법인 화우의 고문직을 겸하고 하다. 이마트 등 나머지 계열사도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를 영입했거나 예고하고 있다.

밖으로는 '상생'의 제스춰를 취하고, 안으로는 권력인사를 들이는 신세계의 행보를 정리해보자면 '외유내강(外柔內剛)'으로 종합할 수 있겠다.

문제는 이런 신세계그룹의 변화에 대한 평가가 모두 좋지만은 않다는 사실이다. 일각에서는 ‘이중적’이라는 극단적인 평가마저 내놓고 있다. 신세계그룹이 앞에서는 ‘상생’을 내세우고 있지만 '변종SSM'에 따른 골목상권 침해논란으로 그 진정성을 의심받고 있고, 이마트 노조와 갈등이 여전한 상황에서 이런 권력기관 출신 인사 영입은 결국 ‘방패막이’ 강화라는 업계의 해석을 부르고 있다.

여기서 지난해 잇딴 의혹으로 사정당국 도마에 올랐던 신세계그룹이 자사에게 쏟아진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내고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진정한 변화에 나서기 보다 스스로를 보호키 위한 ‘철옹성’을 쌓는데 급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과정에서 신세계의 사외이사들이 보여준 행보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5번에 걸쳐 개최된 신세계 이사회에서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들은 안건에 대해 모두 100%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전해진다. 사외이사제도가 대주주의 독단경영을 막자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라는 점에서 100%라는 수치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지적이다. 신세계는 이들에게 지난해 1인당 평균 5,500만원의 보수를 지급했다. 이사회 한번 참석에 4백만원 꼴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