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메이트에 일감지원 외에 엔투비 지분전량매각 배경놓고도 억측 무성
'비자금창구'역할 한 것 아니냐는 의문 나오면 권 회장 리더십 '치명타'

▲ 권오준 포스코 회장

[중소기업신문=김경호 기자]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포스코와 포스코동우회가 대주주인 계열사 포스메이트에 대한 일감몰아주기를 강화하고 있는데 대해 비판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비자금조성의혹으로 검찰 수사가 진행중인 포스코가 이를 통해 '비자금조성창구'로 이용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계열사일감몰아주기에 대한 과감한 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포스코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민영화에도 기간산업을 맡아 공익성이 강한 포스코가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정부규제정책에 반해 포스메이트에 대해 일감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가 지난해부터 부당지원혐의로 포스메이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후 얼마 전부터 제재절차에 착수한 것은 포스메이트에 대한 일감몰아주기가 상당히 심한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 계열사들이 일감을 집중적으로 몰아주고 있는 포스메이트는 '전관예우' 의심을 받고 있는 회사다. 포스코 퇴직 임원들의 모임인 포스코동우회가 1990년 설립한 이 회사는 서울 포스코센터를 비롯해 포스코 계열사 사옥과 연구소, 공장 등의 운영관리를 맡고 있다. 포스코동우회와 포스메이트는 같은건물에 같은층에 있다.

지분분포를 보면 설립초기엔 포스코동우회가 100%를 소유했다. 하지만 그 후 몇 차례의 유상증자가 실시되는 과정에서 포스코동우회의 지분은 낮아지고 포스코 지분율은 높아지면서 포스메이트는 지난 2005년 포스코 계열사에 편입됐다. 현재 포스코가 57.3%, 포스코동우회가 31.7%, 포스코건설이 1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포스메이트가 계열사에 편입되면서 포스코의 일감몰아주기가 가속화됐다. 포스메이트의 매출액은 2009년 822억원에서 2013년 1184억원으로 44%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1323억원을 올렸다. 포스코에 편입된 지난 2005년 770억에 불과했던 매출이 그동안 두 배 가까이 불어난 셈이다.

포스메이트가 급성장한 것은 당연히 포스코 계열사와의 높은 내부거래 덕분이다. 내부거래율은 최근 70%대에 이르고 있다. 금감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포스메이트는 2012년 매출액 1047억원중 약 828억원, 2013년엔 1185억원중 약 868억원 등을 내부거래로 올렸다. 지난해에는 매출액 1323억원중 포스코건설 등 다른 계열사를 빼고 포스코에서만 올린 매출액이 508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이 많아지면서 배당금도 두둑히 지급됐다. 2대주주인 포스코동우회가 2005년부터 2013년까지 9년간 받아온 배당금만 9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동우회는 이렇게 벌어들인 수익으로 회원들의 축의금, 경조금 등에 사용하고 있다.

포스메이트 내부거래 과정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지난해 10월 포스코가 연간 7천억 원대매출의 엔투비 지분을 포스메이트에 넘긴 점이다. 이를 두고 포스코의 포스메이트 챙기기가 도를 넘었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는 단순 일감몰아주기를 넘어 지배구조에 까지 손을 댄 것으로 그 배경을 두고 그럴듯한 소문이 무성했다.

이에 대해 당시 포스코측은 '업무 효율성 제고차원의 유사계열사 통합'이라는 해명을 내놨지만, 이후 포스메이트가 아닌 포스코가 포스코특수강 소유 엔투비 지분을 매입하면서 이런 해명을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 지속됐다. 결국 일련의 조치들이 포스코가 퇴직임원들의 모임인 포스코동우회를 챙겨주기 위한 조치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어쨌든 포스메이트는 엔투비를 얻으면서 포스코 계열사에서 일감지원 말고도 안정적인 내부거래 매출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포스코의 지금까지 행보에 대해 오너 일가 사기업 밀어주기의 전형적인 방식과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권 회장은 이런 문제들을 말끔히 정리해야 할 입장이고 이를 실행할는지가 주목된다. 포스코비리 사건을 은폐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권 회장이 포스메이트 일감몰아주기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은 상황에서 이에 대해 개혁의 메스를 가하지 않으면 비리나 부조리에 엄정하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기 십상이다.

물론 현재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사조직 챙기기’란 비난은 지속될 것이고 경우에 따라선 또 다른 비자금 조성과 관련한 논란에 휘말릴 수도 있다. 특히 엔투비 지분전량을 포스메이트에 넘긴 것과 관련, 포스코측의 해명은 설득력이 약하다는 점에서 그럴 가능성에 대한 일각의 의문은 쉬이 가시지않는 모습이다. 이미 포스코 비자금조성의혹사건에 대한 검찰조사로 흔들린 권 회장의 리더십은 이로 인해 치명타를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다.

여기에다 국가기간산업을 영위해 공익성이 강한 포스코가 중소기업들의 참여기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정부규제정책에도 반하는 일감몰아주기에 전념한다는 데 대한 외부시선이 곱지 않다는 측면에서도 권 회장은 일감몰아주기를 과감하게 정리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