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째 임금 비율 제자리…임금 높여야 중기 인력난 해결될 듯

[중소기업신문=박진호 기자] 중소기업 근로자가 받는 월급이 같은 업종 대기업 직원의 6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스한 일을 하고도 받는 월급은 두 배 가량의 차이가 난다는 이야기다. 이는 갈수록 심화되는 실업난에도 청년 구직자들이 중소기업으로 눈을 돌리지 않는 이유라는 지적이다.

29일 중소기업청이 이채익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중소기업 월평균 임금 총액(월임금 총액)은 293만8306원으로 대기업(484만9460원)의 60.6% 수준이었다.

이런 격차는 5년 전과 달라진 것이 없다. 연도별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율은 2011년 60.5%, 2012년 62.1%, 2013년 62.2%, 2014년 60.6%, 2015년 60.6%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건설업, 보건업 분야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더욱 컸다. 건설업 분야 중소기업 월임금 총액은 236만2304원으로 대기업 대비 44.9%에 그쳤다. 그나마 2011년 37.3%보다는 격차를 줄였지만, 여전히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47.4%),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52.5%), 제조업(54.1%), 숙박·음식점업(56.6%)도 상황은 비슷하다.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은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율이 2011년 71.5%에서 2015년 69.6%로 떨어졌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도 같은 기간 86.5%에서 72.0%로 14.5%포인트 하락하며 대기업-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벌렸다.

반면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94.9%)와 교육서비스업(83.8%), 금융·보험업(82.2%) 등은 대기업 수준의 연봉을 받았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은 중소기업 월임금 총액이 211만9248원으로 대기업(173만2925원)보다 38만6323원 많았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대-중소기업간 임금 양극화가 중소기업 인력난의 근본적인 배경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취업포털업계의 한 관계자는 “학력 상위 평준화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구직자들은 모두 좋은 직장을 구하려고 한다”며 “이들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중소기업 보다 대기업을 선호하는데 현실적인 임금이나 복지 수준을 따져보면 이들을 탓 할 수만은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더라도 오래 다니지 않는 경우도 많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1년 이내 신입사원을 채용했던 국내 중소기업 채용담당자 746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신입사원 퇴사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신입사원이 1년 안에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3개월 안에 퇴사’한다는 응답자가 48.8% 비율로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이 임금‧복지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 역시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장려금 지원 등 대책을 시행하고는 있지만 취업자들의 시각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스스로 임금 수준을 취업자 눈높이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중소기업들의 현실이 녹록치 않다는 데 있다. 많은 중소기업들은 경기 침체 장기화로 허덕이고 있는데 심화된 경영난에 임금을 쉽게 올릴 수 없는 기업은 많지 않다. 여기에 원가절감을 이유로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대기업의 갑질은 중소기업의 수익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중 하나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하청구조가 대부분인 중소기업들의 수익성은 대기업의 납품단가에 좌우되는데 대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부당하게 하청업체에 전가하는 경우가 많다”며 “일감을 쥐고 있는 대기업의 요구를 거절 할 수 있는 중소기업은 많지 않다는 현실에서 정부의 관리감독이 더욱 강화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심한 임금 격차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근로 의욕을 떨어뜨리고 소득 양극화를 심화시켜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된다"며 "정부는 중소기업의 애로를 듣고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