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올리면 한국도 인상압력 불가피
저금리로 빚 늘린 가계·기업 이자부담 커질 듯

▲ 연내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을 앞두고 올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이어온 은행권의 가계 및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본격적인 오름세로 돌아설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pixabay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올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이어온 은행권의 가계 및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올 연말을 기점으로 오름세로 돌아설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시기로 12월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국내 시중금리도 이에 동조해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가 도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시차를 두고 국내 시중금리를 끌어올리는 쪽으로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저금리의 혜택 속에서 대출을 늘려 온 가계와 기업들의 이자부담이 급격하게 커질 수밖에 없어 정부는 물론 가계·기업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5일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시중·지방·특수은행 등 국내 16개 은행의 지난 8월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평균금리는 연 2.83%로 전월(2.87%)에 비해 0.04%포인트 떨어졌다. 올 1월(3.20%)과 비교해선 0.37%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일시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산업·SC·씨티은행 제외)은 3.27%로 전월과 변동이 없었지만, 올 1월(3.43%)에 비해선 0.16%포인트 떨어졌다.

일반신용대출의 평균금리는 4.46%로 전월(4.33%)보다 0.13% 올랐다. 올 1월 4.60%였던 신용대출 금리는 4월에 4.53%으로 떨어진 이후 5월 4.49%, 6월 4.37%, 7월 4.33% 등으로 꾸준히 하락했지만 8월 이후 오름세로 돌아섰다.

신용한도(마이너스)대출 평균금리는 4.28%로 전월(4.27%)에 비해 0.01%포인트 떨어졌고, 1월(4.62%)에 비해선 0.34%포인트 하락했다.

올 들어 중소기업 대출금리도 전반적인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8월 중소기업 보증서담보대출 평균금리는 3.43%로 전월(3.48%)에 비해 0.05%포인트 떨어졌다. 1월(3.71%)과 비교하면 0.28%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신용대출의 경우에도 7월 4.88%에서 8월 4.85%로 0.03%포인트 떨어졌고, 1월(5.09%)에 비해선 0.24%포인트 하락했다.

대출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은행 빚을 크게 늘린 가계와 기업의 관심사는 단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은행권의 가계기업대출 금리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지 여부다. 지난해 연말에도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국내 은행들의 대출금리가 오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9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달 금리수준전망CSI는 107로 8월보다 11포인트나 올랐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국내 시중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김성훈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은행 대출금리의 경우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선반영돼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다만, 국내 시중금리의 방향성은 한은이 미국의 통화정책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어떤 속도로 올리냐가 중요하다"며 "오는 12월에 이어 내년 봄에 한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경우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금리가 우리나라 금리의 턱밑까지 쫓아오게 되는 만큼 한은의 통화정책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0.25~0.5%)과 우리나라(1.25%)의 기준금리 격차는 0.75~1%포인트다. 미국이 금리를 한 차례만 인상해도 금리가 0.5~0.75%로 올라가 우리나라와의 격차가 0.5%포인트로 좁혀진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불리는 가계부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예단하기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대출 부실의 위험성을 키울 것이란 우려가 많다. 미국의 통화정책을 따라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가계는 물론 기업의 원리금 상환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코픽스 금리가 상승하고, 이에 연동된 은행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오르는 등 연쇄적인 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며 "미국이 금리를 아무리 천천히 올린다 해도 차입자 입장에선 이자 부담이 급격하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만큼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