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장기화로 피해 크고 ‘파업 손실’ 전가될까 노심초사

[중소기업신문=김경호 기자] 현대자동차 파업이 일단락됐지만 협력업체들은 울상을 짓고 있다. 올해 유난히 길었던 파업으로 피해가 큰 데다 자칫 원가절감 등의 명목으로 ‘파업 손실’을 고스란히 뒤집어써야할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갑을관계인 협력사들이 현대차에 피해를 호소하기도 쉽지 않다.

현대차 노사는 17일 윤갑한 사장과 박유기 위원장 등 노사 교섭대표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금협상 타결 조인식을 연다. 지난 14일 진행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는 투표자 4만5920명(투표율 91.51%) 가운데 2만9071명(63.31%)이 찬성해 2차 잠정합의안이 가결됐다. 노사가 지난 8월 마련한 1차 합의안이 찬반투표에서 78.05%의 반대로 부결된지 2달여 만이다.

2차 합의안은 1차 잠정합의안 대비 임금 부문에서 기본급 4000원과 전통시장 상품권 30만원 등을 추가 지급하도록 했다. 노조원 한명이 받아가는 평균 성과급은 1800만원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노사는 조업정상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하지만 올해 5월 임금협상 상견례를 시작해 5개월이 지나 임단협이 타결되기까지 노조가 벌인 24차례의 파업과 12차례의 특근 거부에 따른 상처가 쉽게 아물지는 미지수다. 회사 측이 밝힌 올해 파업에 따른 자동차 생산 차질은 14만2000여대, 금액으로는 3조1000여억원에 달한다. 역대 최대치의 손실이다.

협력업체의 사정도 좋지 않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조사 결과 현대차에 납품하는 1차 부품 협력업체는 348개로 현대차 파업에 따른 1차 협력업체의 매출 손실액만 약 1조4000억원으로 추산된다. 5000여개에 달하는 2,3차 협력사로까지 범위를 넓히면 피해액은 더욱 커진다. 경영사정이 좋지 않은 일부 업체는 생사기로에 놓일 수밖에 없다.

현대차는 완성차 생산에 맞춰 부품을 적기에 납품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현대차 입장에선 재고 비용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지만 현대차 생산라인이 멈추면 협력사도 동시에 일손을 놔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현대차 협력업체 120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협력사들의 생산설비 가동률은 파업 이전 91.6%에서 파업 이후 68.3%로 23.3%포인트 낮아졌다. 파업 피해에 대해서는 81.7%가 ‘피해가 크다’고 답했다.

파업 장기화시 대응책에 대한 질문에서는 65.0%가 ‘근로시간 단축 등 생산축소’를 꼽았으며, ‘별다른 조치없이 기다린다’는 응답도 40.8%에 달했다. 현대차 파업으로 피해를 입어도 사실상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말이 된다.

당장에 파업 피해 보다 ‘다음’을 더욱 걱정하는 협력업체도 많다. 현대차가 올린 임금만큼 협력업체들의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A협력업체 대표는 “안 그래도 부품 협력사들은 낮은 이익률에 허덕이고 있는데 만약 이번 사태로 원가절감 등 압박이 심해질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직원들은 전면파업까지 불사했던 올해 파업으로 지난해 보다 더 많은 임금을 손에 쥐게 됐지만 협력업체들은 깊어진 생존고민에 쉽게 일손을 잡지 못하고 있다.

한편, 현대차 노조는 1987년 설립 이래 단 4년(1994년, 2009∼2011년)을 제외하고 지난 29년 동안 해마다 파업을 진행해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