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상호금융 등 비은행권 중기대출 72조원, 1년새 25%↑
금리 인상기 오면 빚상환 부담 증가…"선제적 부채관리 필요"

▲ 글로벌 경기둔화 속에 신흥국의 경제불안과 부실기업 구조조정 등 대내외 경영환경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을 앞두고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 쌓여만 가는 중소기업대출의 급격한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저축은행 모습.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국내 중소기업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금 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은행권 대출심사가 깐깐해지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물어야 하는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을 찾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는 것이다. 내수 침체와 수출 부진 속에 미국의 금리인상 여파로 대출금리까지 오르면 저금리에 편승해 금융빚을 늘려온 중소기업의 부채상환부담이 급격히 커질 수밖에 없어 대출 부실화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중소기업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금 잔액은 72조1634억원으로 전월(70조2887억원)에 비해 2.7%(1조8747억원) 늘었다. 1년 전(57조8171억원)과 비교하면 무려 24.8%(14조3463억원)나 급증했다.

기관별로는 농협·신협 등 상호금융에서 빌린 대출금이 33조4957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호저축은행(21조9488억원), 새마을금고(6조6777억원), 신용협동조합(6208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올 들어 저축은행권의 중소기업대출 규모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저축은행의 중기대출 잔액은 지난해 12월 말 20조2521억원에서 올 6월 말 21조5315억원으로 6.3%(1조2794억원) 늘었다. 저축은행의 기업대출에서 중소기업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95%에 달한다.

저축은행업계의 기업자금대출 가중평균금리(8월 말,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7.8%로 시중 은행보다 4.5%포인트 가까이 높다.

시중은행의 중소기업대출 규모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전월대비 1조9162억원 증가한 586조5774억원이었다. 지난해 12월 말(559조6394억원)과 비교해선 8개월 새 26조9380억원 확대됐다.

금융빚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 중소기업의 재무건전성은 악화하는 추세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2014년 부채비율은 158.46%로 전년보다 17%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은행, 저축은행 등 금융기관들은 올 4분기 기업대출 차주의 신용위험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은의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은행이 예상한 4분기 차주의 신용위험지수는 31로, 3분기(27)보다 4포인트 올랐다. 상호저축은행과 상호금융조합이 예상한 차주의 신용위험지수는 20, 29로 3분기보다 각각 2포인트, 9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조선·해운·철강·석유화학·건설 등 5개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지정하고 '부실기업 솎아내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업종은 대기업에 의존하는 중소 협력업체와 하청업체가 많아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실이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신흥국의 경제불안 등 대외 경제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수익성 저하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은 늘어날 수밖에 없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중금리가 오름세로 돌아설 경우 중소기업의 대출이자 부담을 늘려 신용경색이나 재무구조 악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경기부진에 따른 영업실적 하락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현금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국내 시장금리가 상승압력을 받게 되면 중소기업의 빚부담이 확대될 수밖에 없는 만큼 중소기업과 은행권의 선제적인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