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경쟁력 우위 중국업체 추격 더욱 거세질 듯

[중소기업신문=박진호 기자] 가전,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중국에 대한 품질·기술 격차가 불과 5년 내에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미 중국기업들이 ‘저가’를 앞세워 세계 시장에서 약진하는 상황에서 이들과 경쟁해야 하는 한국기업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기술자립이 취약한 중소기업의 불안감은 더욱 클 수밖에 없어 새정부가 산업 차별화와 신성장동력 확보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8일 산업연구원의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우리 주력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가전, 통신기기, 자동차 등 주요 업종의 중국에 대한 품질‧기술력 우위가 앞으로 5년 뒤에는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전의 경우 한국을 100점으로 뒀을 때 현재 중국의 품질 경쟁력은 90점이지만, 5년 후에는 우리와 같은 100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됐다. 기술 경쟁력은 90점에서 97.5점으로 상승한다. 통신기기는 중국의 품질 경쟁력이 90에서 95점, 기술 경쟁력은 92점에서 95점으로 오를 전망이다. 또 자동차는 현재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각각 80점과 85로 우리나라보다 15∼20점 낮지만, 5년 후에는 90과 95로 오르며 격차를 10점씩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신산업 대응 경쟁력에서는 5년 후면 철강(95→98점), 석유화학(95→100점), 가전(90→97.5점) 등 다수 업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에 거의 차이가 없게 된다.

이는 중국의 산업정책의 초점이 ‘양에서 질’로 이동한 영향이 크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제13차 5개년 계획'과 '중국 제조 2025 전략'을 통해 산업구조의 질적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세계 시장에서 일정 점유율을 확보한 만큼 질적인 성장에 노력하겠다는 포석이다. 자동차의 경우 2014년 중국과 한국의 시장 점유율이 각각 5.6%로 5.2%로 역전된 상황이다.

대다수 산업부문에서 중국이 가격경쟁력 우위를 점한 상황에서 품질‧기술 격차까지 줄어들 경우 세계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입지는 지금보다 줄어들 공산이 크다. 수출에 기대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향후 새정부가 각종 규제와 제도를 정비해 중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신산업과 신제품 개발을 적극 지원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계에서는 우수기술 중소기업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중소기업계의 한 관계자는 “결국 선도적인 기술력 개발로 추격을 따돌려야 한다”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스마트공장 지원 등 지금보다 더욱 강화된 정부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