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금융권 가계부채 7.3조↑…저신용·다중채무자 등 직격탄

▲ 6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최근 국내 가계부채 규모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고 대출금리도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1366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등이 커졌다. 사진=pixabay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다음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1366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대출절벽'에 가까웠던 은행권의 가계부채가 최근 들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데다 시중금리도 강한 상승압력을 받고 있다. 내수경기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인상 여파가 커질 경우 취약계층의 이자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어 급격한 가계빚 부실화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18조6000억원(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양도분 포함)으로 전월에 비해 4조6000억원 늘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많은 월간 증가액이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올 1월 585억원에 불과했지만 2월과 3월에 각각 2조9000억원으로 크게 늘었고, 지난달에는 두 배 가까이 급증하는 등 다시 가파른 증가세로 돌아섰다. 가계부채가 이례적으로 폭증한 지난해 4월(5조2000억원)보다는 줄었지만, 안심하기 이르다는 게 당국의 시각이다.

지난달 은행·비은행권을 합친 가계대출은 7조3000억원(금융감독원 속보치 기준) 늘었고,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6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말 현재 가계부채는 1344조3000억원에 달한다. 올해 1~4월에 22조5000억원이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전체 규모는 1366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되고 국내 시중금리가 상승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저소득·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이 받는 충격이다.

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43%(지난해 말 기준)인 점을 고려하면 최소 760조원 가량은 시중금리 변동에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형으로 추정된다. 고정금리로 분류되는 대출도 5년이 지나면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혼합형'이 많아 금리 상승의 부담에서 자유롭지 않다.

최근 가팔라진 금리 인상기에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고 만기 도래한 대출 돌려막기가 힘들어지면 여러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부터 부실해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의 대출액은 108조9324억원으로 4년 전보다 20.9% 늘었다.

미국이 다음달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 국내 시중금리 오름세도 가팔라질 전망이다. 시장에선 미국 연준이 6월과 9월까지 연간 세 차례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미국의 통화 긴축 기조와 맞물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유인이 없다는 점에서 시중금리의 상승 압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보면 지난 3월 은행이 신규 취급한 가계대출 금리는 3.43%로 전월대비 0.05%포인트 높아졌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8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지난달 3.21%를 기록, 한달 전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이는 2015년 2월(3.2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부채 문제의 핵심은 단순한 총량관리가 아닌 외부충격에 취약한 한계가구의 부실위험을 얼마 만큼 최소화하느냐에 달려있다"며 "최악의 실업난과 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직 등으로 가계소득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서민들의 파산위기를 줄이고 상환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 노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