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 케이스’ 피하자⋯새정부 ‘골목상권 보호’ 정책 강화 대비용 분석

[중소기업신문=박진호 기자] 새 정부가 비정규직 등 일자리 문제를 최대 정책 현안으로 내세우면서 유통업계의 변화가 주목된다. 백화점이나 마트 등 대형 유통업계는 단기 계약직 근로자나 유통업체가 직접 고용하지 않는 용역사원 등 많이 일하고 있어 비정규직 문제에 가장 민감한 곳 중 하나다.

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롯데백화점 직원은 정규직이 5102명, 비정규직이 301명이다. 비정규직 비중은 5.6%다. 외주업체를 통해 조달하는 용역 인력 규모는 정규직의 약 2배 규모인 1만 명에 달한다. 이들은 주로 주차, 미화, 시설, 안전 부문에서 일한다.

현대백화점에는 무기계약직을 포함한 정규직이 총 2000명선이며, 비정규직으로는 비서와 서무직 등에 약 200명이 있다. 그 외 계산원과 주차, 보안, 미화 등을 담당하는 도급사원이 약 4000명에 달한다.

대형마트에는 시간제로 일하는 무기계약직 근로자가 많다. 지난해 말 기준 이마트 전체 직원 2만7973명 가운데 무기계약직은 1616명이다. 롯데마트는 직원 1만3814명 중 무기계약직이 9236명이었다. 홈플러스에서는 비정규직 비중이 전체 직원의 1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처우 격차는 크다. 정규직으로 분류되는 무기계약직도 최저임금 수준의 시급을 받는 등 상황은 비슷하다. 정부에서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관심을 키우면 키울수록 유통업계의 고민도 함께 깊어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일단 유통업계는 비정규직은 줄이고 고용도 더욱 확대하는 등 새 정부의 기조에 보조를 맞추는 모습이다.

먼저 롯데그룹은 유통계열사 5000명을 비롯한 비정규직 기간제 근로자 1만 명을 향후 3년간 단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는 올해 채용 목표는 1만5000명 이상으로 잡아 예년보다 규모를 늘렸다. 이마트 위드미는 우수 가맹경영주를 정규직으로 채용키로 했다. 현대백화점그룹도 올해 채용 규모를 작년보다 늘린 2600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영업 및 지원인력 단시간 근로자를 오는 2019년까지 전일제로 전환키로 했다.

출점 제한 등 성장성 고민이 깊어진 유통업체들이 고용부담 확대에도 이처럼 적극적으로 새정부의 보조를 맞춘데 대해 전문가들은 복합쇼핑몰 입지 및 영업시간 제한, 의무휴업 확대, 최저임금 인상 등 새정부의 골목상권 보호 정책과 무관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 정부에서 현행 규제 수위가 높아질 지에 대해 관심은 크지만 특별히 정부 기조를 생각하고 고용을 챙기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업계 내에서 정권 초기부터 시범케이스가 될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것도 맞다”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