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빚더미에 놓인 한계기업의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매출이 많고 고용 직원이 많은 상장 한계기업이 무너지면 한국 경제에 치명타로 작용할 위험이 큰 만큼 선제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계기업 3278개 중 비교적 기업 규모가 크다고 할 수 있는 상장기업은 232개 수준이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상장 한계기업의 매출액 합계는 71조354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시 한국 국내총생산(GDP) 1565조원의 4.6%에 달하는 규모다. 이 상장 한계기업이 고용한 직원 수는 정규직 9만200명, 기간제 5285명 등 9만6018명에 달했다.

매출액 1조원이 넘는 상장 한계기업은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해 13개사였고, 1000억∼1조원 사이는 53개사였다. 임직원이 1000명이 넘는 곳은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한 15개, 100∼1000명은 124개사였다.

2012년 38조4000억원이었던 상장 한계기업의 신용공여액(대출·지급보증 등 빚)은 2015년 53조5000억원으로 약 1.4배 불어났다. 상장 한계기업은 기업 개수로는 전체의 7%에 불과했지만, 신용공여액 기준으로는 45%나 차지했다.

김종민 의원은 "가계부채와 마찬가지로 기업부채도 양적 관리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한계기업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은 만큼 한계기업이 우리 경제의 화약고가 되지 않도록 별도의 채무관리방안을 수립해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