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흥국생명·롯데·한화손보 등 RBC비율 하위권
신회계기준 도입·시중금리 상승에 RBC관리 비상
중소형사 경영부담 가중…구조조정 압박 커질듯

▲ 오는 2021년 새로운 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보험업계에 건전성 확보를 위한 자본확충 부담이 커지면서 중소형 보험사들의 지급여력(RBC)비율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서울 용산구에 한강대로에 위치한 KDB생명 본사 모습. 사진=KDB생명 제공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중소형 보험사의 지급여력(RBC)비율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2021년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자본 건전성 확보에 빨간불이 켜진 중소형사들이 유상증자와 신종자본증권·후순위채 발행 등에 나서며 자금수혈에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RBC비율을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은 모양새다. 실적 부진에 돈줄마저 바짝 마르는 상황에서 자본확충을 위한 시장 환경마저 녹록치 않게 돌아가면서 중소형 보험사들의 앞날에 가시밭길이 예고되고 있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RBC비율이 200%를 밑돌고 있는 생명보험사는 KDB생명(128.4%), 흥국생명(162.2%), 동부생명(188.1%), DGB생명(191.0%) 등이다. 아직 반기보고서를 공시하지 않은 현대라이프·하나·신한·KB생명의 지난 3월 말 기준 RBC비율은 각각  150.0%, 160.9%, 175.6%, 183.9%를 나타냈다.

반면 ING생명의 RBC비율이 522.6%로 생보업계에서 가장 높았고 삼성생명(331.8%), 라이나생명(319.5%), AIA생명(260.9%), ABL생명(250.8%), 교보생명(241.7%), 동양생명(228.9%), 한화생명(222.2%), 농협생명(218.2%), 미래에셋생명(216.3%) 등의 순이었다.

손해보험사의 경우 롯데손보의 RBC비율이 161.3%로 업계에서 가장 낮았다. 한화손보(168.1%)와 흥국화재(168.5%), 농협손보(186.4%), KB손보(188.3%), 현대해상(193.1%) 등도 RBC비율이 200% 미만이었다. 

대형 '빅3' 손보사인 삼성화재의 RBC비율은 359.2%를 기록, AIG손보(417.5%, 3월 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현대해상의 RBC비율은 지난해 말 158.3%에서 올 6월 말 193.1%로 34.8%포인트 올랐고, 같은 기간 동부화재는 173.2%에서 207.8%로 34.6%포인트 상승했다.

이밖에 메리츠화재(203.8%), 코리안리(233.4%), 더케이손보(206.1%, 3월 말), AXA손해보험(210.8%, 3월 말) 등의 RBC비율이 200%를 넘었다.

RBC비율은 보험사가 예상하지 못한 손실이 발생할 경우 보험계약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여력을 보여주는 재무건전성 지표로,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을 요구자본(지급여력기준금액)을 나눠 산출한다. 보험업법 상 RBC비율을 최소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하며,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은 150% 수준이다. 통상 RBC비율이 200%를 넘어야 안정권으로 평가한다.

새 회계기준 도입이 사실상 3년 반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앞으로 재무건전성 규제 강도가 높아지면 RBC비율이 저조한 중소형사들의 자본확충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새 회계기준의 핵심은 보험부채를 평가하는 방식을 원가에서 시가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 기준이 적용되면 과거 고금리 확정형 상품을 많이 판매한 보험사를 중심으로 부채가 크게 늘어나게 되고, IFRS17이 적용되는 2021년에 현재와 같은 RBC비율을 유지하려면 더 많은 자본이 필요하다.

게다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국내 시중금리의 상승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현재와 같은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면 단기적으로 보험사의 보유 채권 가치가 하락해 자본 감소가 발생하고, 그 결과 RBC비율이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보험사의 RBC비율이 100%를 웃도는 만큼 당장 큰 문제는 없지만, 낮은 수준의 RBC비율은 해당 보험사의 투자자와 계약자들의 불안감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영업점 축소, 희망퇴직 등 비용절감을 위한 구조조정 압박이 거세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