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보유자산 축소에 연말 기준금리 인상 추진
1400조원 넘은 가계빚…취약차주 중심 부실화 우려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보유자산 축소를 공식화하고 연말 금리인상을 시사하면서 1400조원을 넘어선 국내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 영업점 모습.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보유자산 축소를 공식화하고 연말 금리인상을 시사하면서 1400조원을 넘어선 국내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대출절벽'에 가까웠던 은행권의 가계부채는 최근 들어 급증세로 돌아선 데다 시중금리도 오름세를 타고 있다. 미국을 필두로 한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시장금리 상승에 탄력이 붙을 경우 취약계층의 이자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는 만큼 가계빚 부실화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은행과 보험사, 저축은행 등 금융권 전반의 가계대출액은 406조6000억원에 달한다. 한국은행이 올해 6월까지 집계한 가계신용(부채) 1388조3000억원에다 금융위원회가 속보치로 발표한 7월 가계부채 증가액 9조5000억원과 8월 8조8000억원을 합한 액수다. 

가계부채는 2012년 905조원, 2013년 960조원, 2014년 1025조원, 2015년 1138조원, 2016년 1269조원 등으로 해마다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5년간 가계부채 증가율은 무려 55.3%에 달했고, 가구당 평균 가계부채액은 2012년 3684만원에서 지난해 4686만원으로 증가했다.

문제는 가계빚이 계속해서 불어나는 상황에서 미국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 등 본격적인 돈줄 죄기로 국내 시장금리 오름세에 속도가 붙을 경우 부채상환능력이 취약한 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연준은 20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자산축소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연준은 다음달 100억달러 규모를 시작으로 향후 몇 년에 걸쳐 보유자산을 축소하기로 했다. 보유자산 축소는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긴축 효과가 있어 사실상 장기금리 상승을 의미한다.

아울러 연준은 기준금리를 현재의 1.00~1.25%에서 동결했지만,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근 국내 시중금리가 오름세에 접어든 상황에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더해질 경우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 카드·보험사 등 금융기관의 대출금리 인상에 기름을 붓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지난 7월 말 은행권의 가계대출 금리는 연 3.46%로 전월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3.28%)가 전월보다 0.06%포인트 상승해 2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고, 신용대출은 4.44%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또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연 15.23%로 은행에 비해 4.4배 가량 높았다. 

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시중금리 변동에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61.3%에 달한다. 이는 전월대비 1.7%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올해 1월(61.4%) 이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기업대출의 변동금리 비중도 68.0%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미국의 자산축소, 금리인상 여파로 국내 시중금리까지 가파르게 오르면 변동금리 대출 차주의 이자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고, 영세자영업자 등 서민들의 가계부채부터 부실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출 부실화를 막는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