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가계빚 증가세 가팔라…3년새 빚 부담 36%↑
20대 대부업 이용자 93%, 연 25% 넘는 고금리 물어
청년층 파산도 급증…"청년정책 금융지원 강화해야"

▲ 극심한 취업난과 경기불황 속에 생계자금 등을 마련하기 위해 높은 대출금리를 물어야 하는 저축은행·대부업체의 문을 두드리는 20대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급격한 대출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pixabay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극심한 취업난 속에 '소득절벽'에 직면한 20대 청년층의 대출부실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20대 청년층 상당수가 대학생활 내내 학자금 대출을 받으며 졸업 후 빚더미에 앉은 상태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가 하면, 생계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연 30% 안팎의 살인적인 금리를 매기는 대부업체의 문을 두드리는 청년들도 늘고 있다. 대출금리 상승, 소득감소 등의 외부 충격에 가장 취약한 청년들의 대출 부실화를 막는 선제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30대의 소득 대비 가계대출비율(LTI)은 2014년 3월 말 136.0%에서 올 3월 말 185.2%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40대는 162.7%에서 202.3%로, 50대는 179.9%에서 207.1%로, 60대 이상은 225.9%에서 250.7%로 각각 올랐다.

가계빚 증가세는 청년층이 가장 가팔랐다. 최근 3년간 LTI 증가율을 보면 30대 이하가 36.2%로 40대(24.3%)·50대(15.1%)·60대(11.0%)에 비해 가장 높았다. 소득이 제자리에 머무르는 사이 대출은 연평균 12%, 한 달에 1% 가량 늘어난 셈이다.

낮은 신용등급으로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기 어려운 대학생이나 미취업 청년들은 생활비, 등록금 등 급전을 마련하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높은 대출금리를 감수해야 하는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에 손을 벌리고 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무직자는 총 2만736명, 대출금 총액은 788억6300만원을 기록했다. 연령별로 20대가 1만1262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4101명), 40대(3261명), 50대(1679명) 등의 순이었다. 대출액도 20대가 506억1600만원으로 전체(788억원) 64%에 달했다. 

대부업체의 가계대출 가운데 20대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은 수준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상위 20개 대부업체의 가계대출에서 20대 차주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3.4%, 대출잔액 기준 비중은 10.5%로 집계됐다.

이들은 대부분 높은 금리로 돈을 빌렸다. 20대 차주 26만2508명 가운데 70.0%인 18만3865명이 연 25.0%~29.7%의 대출금리가 적용됐고, 23.7%인 6만2122명은 연 27.9%~34.9%의 금리로 대출을 받았다. 20대 차주의 93%가 연 25% 이상의 고금리 물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낮은 소득으로 상환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청년층의 고금리 이자부담이 커지면서 개인파산을 신청하는 20대도 늘고 있다. 지난해 20대 파산 신청자는 743명으로 2013년 484명에 비해 53.5% 증가했고, 20대 면책 신청자도 지난해 730명으로 2013년 628명보다 16.2% 확대됐다.

문제는 소득이 없는 대학생이나 사회 초년생들이 은행에 비해 대출문턱이 낮은 저축은행, 대부업체의 대출을 이용했다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대출이자를 갚기 위해 다른 금융기관에서 또다시 돈을 빌리는 '돌려막기'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연체상태이거나 신용불량자로 전락할 경우 햇살론 등 정부의 서민금융상품마저도 이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도권내에서 돈을 빌리기도 힘들어 불법 사채시장으로 내몰릴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무직자도 쉽게 돈을 빌릴 수 있다며 '쉬운 대출'을 조장하는 대형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의 무분별한 마케팅 경쟁이 신용관리가 미숙한 20대의 연체·상환 불능은 물론 개인 파산까지 초래할 수 있다"며 "청년들이 고금리 대출로 내몰리지 않도록 청년정책 금융지원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