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협회 회원사 연체율 5% 육박…일부 업체는 위험수위
잇따른 사건·사고에 투자자 피해 늘고 업계 신뢰도 추락
위기감 커진 업계 "현안대응 TF 구성…신뢰 회복에 주력"

▲ 중금리대출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르며 고속성장을 거듭해온 P2P(개인 간 거래) 시장이 부실한 대출관리와 사기와 횡령, 부도사태 등 연이은 사건·사고에 총체적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사진=pixabay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중금리대출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르며 고속성장을 거듭해온 P2P(개인 간 거래) 시장이 총제적인 위기에 직면했다. 최근 P2P금융 사기와 경영진의 횡령 및 잠적, 부도사태가 연이어 터지며 그야말로 '무법천지'로 전락한 데다 업체들의 과열 경쟁과 부실한 여신관리로 대출 연체율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P2P시장이 투자자의 신뢰를 얻고 금융시장에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선 투자자 보호 및 리스크 관리 역량이 떨어지는 부실 P2P업체를 가려내는 옥석가리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61개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2조3469억원으로 전월(2조2093억원) 대비 6.23%(1376억원) 늘었다. 항목별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액이 8355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부동산 담보(7686억원), 기타담보(5599억원), 신용대출(1829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지난해 1월 말 5275억원에서 올 1월 말 1조9366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고 2월(2조822억원), 3월(2조2958억원), 4월(2조3929억원) 등 매달 증가세를 이어가다 5월에는 2조2093억원으로 감소한 뒤 지난달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P2P대출은 출범 초기 스타트업이나 영세소상공인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각광을 받았지만, 부실률 및 리크스 관리 역량이 떨어지는 영세업체들의 투자 안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실제로  P2P대출의 연체율은 매달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P2P협회 소속 회원사의 5월 말 기준 가중평균 연체율은 4.84%로 전월(3.57%)보다 1.27%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일부 회원사의 연체율은 우려스러울 정도로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3위인 루프펀딩의 연체율은 5월 말 6.90%에서 한 달 만에 16.14%로 뛰어올랐고, 다른 대형사인 피플펀드 연체율도 9.67%를 기록하며 전달에 이어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이밖에 브릿지펀딩의 연체율은 무려 80.75%에 달했고 이디움 펀딩(35.41%)과 스마트펀딩(28.96%)의 연체율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일부 업체의 대출부실 및 도덕적 해이 등으로 투자자의 피해도 커지는 추세다. 부동산PF 전문 대형사였던 헤라펀딩은 지난 5월 투자금 130억원을 미상환한 채로 부도를 냈고, 지난 4일에는 아나리츠 대표와 임원 등 3명이 1000억원 상당의 투자금 횡령 및 유용 혐의로 검찰에 구속 기소됐다.

신생업체로 높은 수익률을 제시하며 투자자들을 끌어 모았던 더하이펀딩과 오리펀딩 대표는 최근 잠적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고, 연체율 악화로 사업장이 폐쇄된 펀듀의 대표이사도 해외로 달아나 잠적한 상태다.

문제는 P2P업체를 규제할 관련 법규가 없어 제대로된 투자자 보호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현재 금융감독원은 P2P대출 업체를 조사할 법적 권한이 없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2월부터 P2P 대출 가이드라인의 형태로 규제하고 있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는 행정지도 성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진입에 제한이 없다보니 검증되지 않은 P2P업체가 난립하면서 대출 부실은 물론 허위대출, 자금횡령 등 사기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물론 선량한 업체들까지 피해를 보고 있는 만큼 시장 진입문턱을 높이고 부실업체를 선별해 퇴출시키는 등 고강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실대출과 사기·횡령 등 일련의 사태로 위기감을 느낀 P2P업계도 신뢰 회복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섰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는 최근 P2P금융협회, 법무법인 광장, 금융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민간 주도의 태스크포스(TF) 구성했다. 협회 관계자는 "P2P금융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자율규제안 마련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P2P 관련 입법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