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비은행권 中企대출 128.3조원…올들어 14조원↑
경영난에 금리 비싼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에 손벌려
금리 상승기 도래…고금리 빚부담에 자금경색 우려

▲ 비은행금융기관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이 역대 최대 규모인 128조원을 넘어섰다.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비은행금융기관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이 역대 최대 규모인 128조원을 넘어섰다. 극심한 경영난과 매출부진에 허덕이는 영세중소기업들이 사업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금리가 비싼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비은행권에 손을 벌리고 있는 것이다. 미국발 금리인상 여파에 국내 시중금리 오름세가 가파른 상황에서 고금리 대출로 연명하는 중소기업의 채무상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128조3130억원으로 전월(125조544억원)대비 3조2586(2.61%) 증가했다. 이는 1년 전(90조7001억원)에 비해선 35조357억원(37.56%) 늘어난 것으로, 올해 1~5월 중소기업대출 증가액은 14조4122억원에 달했다.

업체별로 신용협동조합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이 지난해 4월 말 11조6640억원에서 올 5월 말 19조5735억원으로 1년새 7조9095억원(67.81%) 급증했다.

같은 기간 새마을금고는 7조8391억원에서 12조1368억원으로 4조2977억원(54.82%) 늘었고, 상호금융은 44조444억원에서 59조2082억원으로 15조1638억원(34.43%) 증가했다. 저축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잔액도 25조1926억원에서 31조2171억원으로 6조245억원(23.91%) 확대됐다.

올들어 비은행권의 중소기업대출 규모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것은 시중은행의 대출심사 강화 여파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대출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이동하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작용한 영향이 크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지난 2016년 2월 주택담보대출 심사에서 소득 요건을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도입했고, 지난해 3월부터는 상호금융에도 시행 중이다.

문제는 국내 시중금리가 본격적인 상승세를 타면 중소기업의 부채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정책금리를 전격 인상한 가운데 올 하반기에도 금리를 두 차례 추가 인상해 올해 모두 네 차례 올릴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국 기준금리가 오르면 전 세계 채권시장의 기준이 되는 미국의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국내 시장금리도 이에 연동해 오르게 된다. 여기에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기준이 되는 금융채나 코픽스 금리도 국내 시장금리를 함께 올려 대출금리를 상승시킨다.

한국은행도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에 따라 4분기 중 한 차례 정도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시장의 예상대로 미국과 한은의 금리인상이 현실화할 경우 국내 금융권의 대출금리 오름세도 가팔라질 수밖에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가 비싼 비은행권 대출이 많은 중소기업들은 금리 인상에 따른 충격에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시중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상황에서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세심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