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3100개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곳 가운데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 7년 이상 이어지는 '만성' 한계기업이었다.

한국은행이 20일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한 금융안정상황(2018년 9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계기업은 3112개로 전체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법인(외감기업)의 13.7%에 달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100)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이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7년 이상 연속 100% 미만인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42개사로 집계됐다. 특히 이자보상비율이 10년 이상 연속 100% 미만인 곳은 393개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자산은 90조4000억원(전체 한계기업 대비 31.2%), 부채는 84조6000억원(39.0%), 차입금은 50조4000억원(40.3%) 수준이었다.

2010∼2016년 한계기업이었다가 지난해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상이 되며 한계기업에서 벗어난 기업은 40.1%였다. 그러나 계속 한계기업은 31.4%, 폐업 등으로 외감기업에서 제외된 곳도 28.5%에 달했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비제조업 비중이 78.6%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세부업종별로는 부동산이 24.0%, 골프장·유원지 등 스포츠레저가 10.4%, 시설물관리·경비보안 등 사업서비스가 9.3%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자산규모가 500억원 미만인 영세 기업이 66.9%로 가장 많았다.

장기존속 한계기업 가운데 자본잠식인 곳은 60.9%, 완전잠식상태인 기업도 33.3%로 나타났다.

한은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이 우리 경제, 금융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아 현재로서는 관련 리스크가 제한적"이라며 "그러나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한계기업이 계속 증가하면 자금의 효율적 배분을 저해하고 위기 시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회생 가능성이 낮은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노력을 강화하고 금융기관은 부실 우려 기업의 대출 건전성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