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권 중소기업대출 143조원…1년새 33% 늘어
대형대부업체 자영업자 빚도 고공행진, 전체의 24%
고금리에 허덕…금리 인상기 자금경색 심화 우려

▲ 경영난 악화로 사업자금 마련에 허덕이는 영세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이 대출금리가 비싼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 및 대부업체에 손을 벌리면서 고금리 채무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의 고금리대출 증가세가 가파르다. 경영난 악화로 사업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자 높은 대출금리를 부담해야 하는 저축은행과 대부업체 등 비은행권에 손을 벌리고 있는 것이다. 미국발 기준금리 인상 여파에 국내 시중금리가 들썩이는 상황에서 고금리대출로 연명하는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의 채무상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1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상호저축은행·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자영업자를 포함한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143조787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40조5923억원)대비 3조1947억원(2.3%) 증가한 것으로, 1년 전(107조8666억원)에 비해 35조9204억원(33.3%) 늘었다.

금융기관별로 보면 상호저축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이 지난해 10월 말 27조5005억원에서 올 10월 말 33조2045억원으로 5조7040억원(20.7%) 늘었고, 상호금융은 50조7814억원에서 64조9794억원으로 14조1980억원(27.9%) 증가했다. 신용협동조합(14조9181억→22조8628억원)과 새마을금고(9조5236억→16조898억원)는 각각 7조9447억원(53.3%), 6조5662억원(68.9%) 확대됐다.

이처럼 비은행권의 중소기업대출 규모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것은 은행의 높아진 대출문턱에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의 대출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이동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초부터 은행권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본격 시행된 데다 소득대비대출비율(LTI)과 임대업 이자상환비율(RTI) 등 자영업자대출 규제도 한층 강화됐다.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자영업자들도 크게 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2018년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자료를 보면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 거래자의 직업은 회사원이 60.6%로 가장 많았고, 자영업자는 24.1%로 뒤를 이었다.

대부업 대출을 이용 중인 서민 4명 중 1명은 자영업자인 셈이다. 대형 대부업체의 자영업자 이용 비중은 지난 2017년 6월 말 18.8%에서 12월 말 21.6%로 3%포인트 가량 오른데 이어 지난해 6월 말 25%에 육박하는 등 증가세가 가파른 상황이다.

이들 자영업자의 대출 목적은 '사업자금 마련'이 398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생활비(1804억원), 타 금융기관 대출 상환(756억원), 물품 구매(17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문제는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여파로 국내 시중금리가 들썩이는 상황에서 영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의 부채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정책금리을 올린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올해에도 두 차례의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미국 기준금리가 오르면 전 세계 채권시장의 기준이 되는 미국의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국내 시장금리도 이에 연동해 오르게 된다. 여기에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기준이 되는 금융채나 코픽스 금리도 국내 시장금리를 함께 올려 대출금리를 상승시킨다.

비은행권의 대출금리는 은행권보다 월등히 비싸다. 저축은행의 기업자금대출 평균금리는 연 8%대 수준으로 시중은행에 비해 2배 가량 높다.

대형 대부업체의 평균 대출금리는 연 21%에 달한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 여파에 지난 2016년 12월 말(24.3%)에 비해 3%포인트 가량 떨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20% 수준의 고금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대출 금리가 연 22.8%, 담보대출 금리는 연 14.0%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가 비싼 비은행권 대출이 많은 자영업자와 중소기업들은 금리 인상에 따른 충격에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시중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상황에서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세심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