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경영 판단에 그룹 번번이 흔들려
대우사태로 사퇴했지만 1년만에 경영복귀
산은에 손 벌리기 앞서 대주주 책임 먼저

[중소기업신문=김두윤 기자]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박 회장의 그룹 재건 과정에서 든든한 캐시카우 역할을 하다가 결국 극심한 유동성난에 봉착한 아시아나항공의 위기가 발단이 됐다. 그룹을 위기에서 구하기 위한 ‘용퇴’라는 평가와 함께 당장에 소나기를 피해가자는 포석 아니냐는 물음표가 엇갈리고 있다. 그는 과거 대우건설 사태로 경영일선에서 잠시 물러났다가 복귀한 전력이 있다. 그가 경영실패에 대한 책임을 보다 적극적으로 져야한다는 지적이다.

박 회장은 지난 28일 최근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의 감사보고서 문제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경영에서 물러난다고 밝혔다. 그룹 회장직과 함께 아시아나항공과 금호산업의 대표이사·등기이사직, 금호고속 사내이사직도 내려놨다. 그러면서 산업은행의 협조를 요청했다.

최근 아시아나항공은 감사보고서 감사의견 '한정'을 받았다. 나흘만에 '적정' 의견을 다시 받으면서 급한불은 껐지만 신용평가사들의 부정적인 보고서가 나오면서 유동성 확보에 적신호가 켜졌다. 아시아나항공의 신용등급이 현재 BBB-에서 '투기등급'인 BB로 강등될 경우 지난해 말 발행한 1조원대 자산담보부증권(ABS)의 조기상환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박 회장이 용퇴를 통해 산은의 지원을 요청하는 승부수를 띄웠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문제는 아시아나항공 부실화의 근본 원인이 박 회장에게 있다는 점이다. 박 회장은 2006년 대우건설과 2008년 대한통운을 인수하면서 그룹을 확장했지만 이내 승자의 저주에 걸려 그룹은 와해될 위기에 직면했다. 결국 두 회사가 재매각되고 일부 계열사는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계열사 회생에 산업은행의 막대한 혈세가 투입됐다.

이후 박 회장은 지분을 되찾아올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무기로 금호산업 등 주요계열사를 하나씩 되찾아오면서 그룹 재건에 성공했지만, 이 과정에서 캐시카우 역할을 한 아시아나항공은 재무구조가 갈수록 악화됐다. 급기야 지난해 채권단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맺고 자산 매각, 영구채 발행, 아시아나IDT‧에어부산 상장 등으로 유동성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이런 노력으로 지난해 말 그룹 전체 부채비율은 전년보다 약 30%포인트 낮아진 364.3%로 개선됐지만 여전히 올해 갚아야할 빚은 1조7000억원에 달한다.

일각에선 박 회장의 이번 퇴진이 사실상 위기모면용이라는 비판도 있다. 박 회장이 과거 대우건설 사태로 그룹이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경영 퇴진했다가 1년여만에 복귀한 전력 때문이다. 더욱이 그의 아들 박세창씨는 최근 아시아나IDT 사장을 맡는 등 경영보폭을 넓히고 있다. 언제든 박 회장의 입김이 그룹 경영에 미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에따라 박 회장의 퇴진이 아름다운 ‘용퇴’가 되기위해서는 그가 사재출연 등 보다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야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박 회장은 퇴진 의사를 밝히면서 "대주주는 어떤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아시아나항공의 조기 경영 정상화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