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도소매업·숙박음식업 최고 과밀 지역
전체 70% 이상 근로자 임금보다 영업익 적어
"지역상권 회복, 지역산업 기반 육성 등 필요"

[중소기업신문=박진호 기자] 소상공인들이 집중된 업종인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이 전국 90% 이상 지역에서 과밀화된 상태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적으로 과밀화 현상이 뚜렷한 가운데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모두 강원도에서 그 정도가 가장 심했다.

중소기업연구원이 9일 발표한 '전국 소상공인 과밀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90% 이상 시군구 지역에서 이들 2개 업종의 평균 영업이익이 동일 업종 근로자 평균 임금보다 낮아 과밀화 상태로 나타났다.

2개 업종 중 도·소매업의 경우 영업이익이 근로자 평균 임금보다 적은 업체는 전체의 75.6%에 달했다.

중기연구원은 소상공인 업체들의 영업이익이 동일 업종 근로자 임금보다 낮은 경우 과밀상태로 규정하고, 전국 지역별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현황을 조사해 전국 과밀지도를 제작했다.

▲ 사진=중소기업연구원 제공

전국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모두에서 소상공인 평균 영업이익이 근로자 평균 임금보다 적어 전국적으로 과밀화 현상이 나타났다.

과밀화 수준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도로, 전체의 81.1%가 근로자 임금 수준보다 이익이 적었다. 다음으로는 전북(80.9%), 전남(80.7%) 등 순이었다. 반면 서울(72.3%), 경기(73.3%)와 대구(73.8%), 울산(75.2%)의 과밀 현상은 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덜했다.

숙박·음식업의 경우 근로자 평균 임금보다 영업이익이 적은 업체는 전체의 68.5%였다.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 중 제주를 제외한 16개 지역에서 과밀화가 나타났으나, 도·소매업보다는 상대적으로 과밀화 정도가 덜했다.

과밀화 수준이 가장 높은 곳은 강원도로, 전체의 73.6%가 근로자 임금 수준보다 이익이 적었다. 이어 세종(72.4%), 경북(72.2%)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제주(59.1%), 대구(63.5%), 경기(65.6%)는 과밀 현상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정완수 중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자영업 과밀해소를 위해 지역상권 회복과 지역산업 기반 육성 등 지자체별 대책 보완이 필요하다"며 "연 단위 전국 과밀지도 작성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소상공인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