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환율전쟁 우려에 일본 수출규제 여파까지

[중소기업신문=이민호 기자] 원화 가치가 최근 한 달여 만에 5% 떨어지면서 추가 하락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으로 원화 가치는 6월 말 대비 5.0% 하락했다. 환율이 달러당 1,154.7원에서 1,214.9원으로 60.2원 상승한 것이다.

원화가치 하락 폭은 경제 규모가 큰 신흥시장 10개국(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중 3번째로 컸다. 이 기간 한국 원화보다 하락 폭이 큰 통화는 아르헨티나 페소화(-6.6%)와 남아공 랜드화(-6.3%)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배경이 됐다.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발표,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은 '포치(破七)',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등이 잇따른 결과다. 한국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37.5%에 달하는 데다, 주요 교역국이 미국과 중국이다.

그러나 신흥국 통화 중에서도 원화 가치 하락이 두드러진데는 일본의 수출규제 등 다른 악재까지 더해진 결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환율 상승 압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경제전문가인 손성원 미 로욜라 메리마운트대학 교수는최근 일 한국 특파원들과 간담회에서 한국 경제에 어려움이 겹치면서 내년에는 원/달러 환율이 1,250원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환율 전고점은 2016년 2월 1245.3원이다.

이런 전망은 원화가 '위안화 블록'에 편입됐다는 점과 연관이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중국의 포치와 관련해 내놓은 지난 6일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신흥·개발도상국가들의 통화가 '런민비(위안화) 블록'에 포함됐다면서 "위안화 약세가 지속하면 이들 통화가치도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각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서 고착화해 상승 쪽으로 기울면 외국인투자자는 물론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유출로 이어지고, 이 때문에 환율이 더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