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보험 손해율 90%대로 치솟아, 실손보험은 130% 육박
수익성 악화에 보험료 인상 요구 커져…"내년 1분기 예상"

▲ 자동차·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손해보험업계의 보험료 추가 인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손해보험업계의 자동차·실손의료보험 보험료 인상 움직임이 본격화할 조짐이다. 올해 초 자동차보험의 적자폭 확대로 손해보험사들의 차보험료 인상행렬이 이어진 가운데 하반기에도 추가인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데다 손해율이 위험수위에 다다른 실손의료보험료도 또다시 오를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가뜩이나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주요 손보사들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급등세를 보였다.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 등 5개 대형사의 지난 6월 자동차보험 손해율(가마감 기준)은 84.2~90.0%를 기록했다. 이는 손익분기점인 적정손해율 77%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각 사별로 평균 10% 가량의 손해를 보고 있는 셈이다.

손해율 악화는 중소형사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더케이손해보험의 손해율은 95.5%, 롯데손해보험은 99.4%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MG손해보험의 경우 103.6%에 달했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받은 보험료 대비 지출한 보험금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손해율 상승은 곧 보험사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 손해율이 100%를 넘는다는 것은 보험료를 받아도 손해액을 다 충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처럼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크게 오른 것은 차량 정비요금이 인상되는 등 보험금 원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교통사고 후유증 치료에 활용되는 한방 추나요법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보험금 지급액이 급증한 영향도 있다. 

일반적으로 폭염과 폭우 등으로 자동차 사고가 늘어나는 여름철에 손해율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는 만큼 본격적인 폭염·폭우가 찾아온 7·8월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더욱 악화됐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이처럼 손해율 상승으로 자동차보험의 수익성이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손보사들은 하반기에도 보험료 인상을 내심 바라는 눈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이미 올 1월과 6월에 각각 3%, 1.5% 수준으로 자동차보험료를 인상한 만큼 연내 추가 인상에 나서기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금융당국도 자동차보험료 인상 요인이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과도하게 보험료를 올리는 것에 대해선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자동차보험료는 원칙적으로 시장 원리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돼야 할 사항이지만, 보험료 인상요인을 소비자에게 모두 전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게 당국의 입장이다. 

자동차보험과 함께 대표적인 국민보험인 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 역시 손보업계의 인상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올 상반기 손해업계의 실손보험 손해율은 129.6%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해보면 손보사들의 실손보험 판매에 따른 영업적자(손실액)는 상반기에만 1조3억원에 이른다. 

이처럼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치솟은 것은 이른바 '문재인 케어'로 불리는 건강보험 강화 정책이 하나둘 시행되면서 지난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의료 이용량이 급증했고, 기존 비급여 진료가 급여로 전환돼 가격 통제를 받자 그 외에 비급여 진료가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손해율 악화는 결국 보험사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치고 보험료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업계에서는 실손보험 손해율 악화 추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지면서 올해 손실액이 1조9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료 인상은 위험수위에 다다른 손해율을 개선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다만 자동차보험료의 경우 한해 세 차례나 올리는 것이 업계 입장에서 부담스러운게 사실이고, 연내 추가 인상이 무리라는 의견도 있어 가장 현실적인 자동차·실손보험료 인상 시기는 내년 1분기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