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신문=박진호 기자] 경제개혁연구소는 18일 "2014∼2018년 국내 기업의 지배주주 지분 이전 시 발생한 경영권 프리미엄이 평균적으로 시장가격의 45%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2014~2018년 이뤄진 국내 기업들의 지분 이전 거래 가운데 인수 후 최대주주의 보유 지분이 10% 이상, 또는 20% 이상인 거래를 분석했다.

이 가운데 인수 후 지분이 10% 이상인 사례 143건의 경우 거래가격과 거래공시 전 시장가격을 비교하면 거래가격이 공시 전 시장가격보다 49~68%가량 높았다. 또 지분 거래가격을 거래공시 후 시장가격과 비교하면 거래가격이 공시 후 시장가격보다 48~54%가량 높았다.

이 거래가격과 시장가격 간의 차이는 새로운 지배주주가 기존 지배주주에게 경영권 프리미엄으로 지불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수 후 지분율이 20% 이상인 사례 91건의 경우에는 거래가격과 거래공시 전 시장가격의 차이가 46~63%, 거래가격과 거래공시 후 시장가격의 차이는 45~51%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정부는 상속·증여세법 개정안을 통해 기업의 최대주주가 보유주식을 상속·증여할 때 적용하는 세율 할증률을 20%로 낮추기로 했다"며 "그러나 국내 경영권 프리미엄이 평균 45% 이상에서 형성되는 상황에서 할증률을 낮출 타당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할증은 최대주주가 누리는 경영권 프리미엄에 대한 과세로, 최대주주의 주식가치를 공정하게 평가하는 것은 공평과세의 취지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왜곡된 지배구조의 교정 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