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부동산관련 대출 연체율 5.5%…1년새 3.2%p↑
부동산담보·PF대출 3개월 장기연체 비중 70% 넘어
부동산대출 쏠림 심각…대규모 부실·피해 우려 커져

▲ 최근 고속성장을 거듭하는 P2P대출업체의 부동산관련 대출이 업황 악화와 부실한 대출관리로 연체율이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투자자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pixabay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P2P업계의 부동산대출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연 10% 이상의 높은 수익률로 투자자를 끌어모으고 있는 부동산관련 대출의 부실률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어서다. P2P대출에 대한 투자자 보호장치가 여전히 미흡한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하락이 본격화할 경우 연체율 악화 등 대규모 부실사태로 투자자들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45개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5조536억원으로 전월(4조7358억원)에 비해 6.71%(3178억원) 늘었다. 이들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지난 2017년 6월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선 이후 지난 5월 4조원대로 올라섰고, 9월에는 5조원을 넘어섰다. 

항목별로는 부동산 담보대출이 1조6142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액은 1조5716억원, 매출담보대출은 7613억원, 동산담보대출은 4788억원, 자산유동화담보대출은 3436억원, 신용대출은 1940억원, 브릿지론은 902억원으로 집계됐다. 

P2P대출은 출범 초기 스타트업이나 영세소상공인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각광을 받았지만, 대출 부실률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투자 안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9월 말 기준 P2P협회 소속 회원사의 평균 연체율은 8.8%로, 2016년 6월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올해 1월 6%를 넘어선 연체율은 2월과 3월에 7%대로 올라섰고, 4월에는 8%대를 기록하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업체별로 애플펀드의 연체율이 93.47%에 달했고 썬펀딩(85.00%)과 소딧(76.00%), 비욘드펀드(70.12%), 빌드온펀딩(62.00%), 월드펀딩(55.00%), 펀디드(35.00%) 등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연체율은 상환일로부터 미상환된 대출 잔액 가운데 30∼90일간 상환이 지연되는 금액의 비중을 말한다.

특히 높은 수익률로 투자자들을 끌어모으고 있는 부동산대출의 부실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이 자료제출 요청에 응한 37개 P2P업체의 대출 취급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8797억원으로 전년동기(5444억원) 대비 61.6% 급증했고, 연체율은 5.5%로 1년새 3.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부동산 담보대출(71.3%)과 PF대출(70.5%)의 경우 120일 이상 장기 연체 비중이 70%를 웃돌았다. 

P2P업체의 부동산 대출액이 크게 늘고, 연체율 역시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금융당국도 부동산 경기하락에 따른 대규모 손실 가능성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PF대출은 성장이 정체인데 반해, 부동산 담보대출와 자산유동화대출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며 "연체율의 경우 자영업자와 법인이 빌린 부동산 대출의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부동산 대출의 부실률이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향후 부동산 경기 하락이 본격화할 경우 자산가치 하락 등으로 P2P 부동산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차주가 늘어날 수밖에 없고, 투자자들의 원금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대출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P2P업체들이 크게 늘고 있지만, 대출관리 능력과 담보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곳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며 "부동산 대출에 투자할 경우 상품설명서에 기재된 담보물건과 채권순위, 담보권 행사방식 등 투자조건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