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비대위 체제로 전환할 듯…부분 개각 가능성도 높아

민주당 정부 청와대의 개편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3주년(5월10일)을 앞두고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조기 출범, 내각과 청와대의 인적쇄신 등이 집중 논의되고 있다. 5월7일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 결과를 보고 최종 방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이해찬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는 8월 전당대회에서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느냐, 조기에 비대위를 출범시키느냐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민주당 내 분위기는 점차 ‘조기 비대위체제 가동’ 쪽으로 흐르고 있다. ‘코로나19 위기’가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치열한 당권경쟁에 돌입할 경우 ‘180석 승리’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그래서 2021년 2월까지 ‘조용한 비대위 체제’를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단, 비대위 체제는 이해찬 대표의 조기사퇴가 전제돼야 한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28일 “박수칠 때 떠나라는 말이 있듯이 문 대통령 취임 3주년 직후가 이 대표사퇴의 적기(適期)”라고 말했다. 게다가 이 대표도 내심 비대위 체제로 가는 것을 바라고 있다는 후문이다. 8월 전당대회가 자칫 문 대통령의 레임덕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정무적 판단에서다.

민주당 비대위 체제를 이끌 인사는 최근 ‘차기대선주자 선호도 40.2%’로 연일 상종가를 올리고 있는 이낙연 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이 적임이라는 데 당내 이견이 없다. 이 대표도 이 위원장이 맡아줬으면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이 위원장은 당권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8월 전당대회에서 당권을 장악해도 대권도전을 위해 내년 2월에는 그만둬야 하는 점이 고민이다. 자연 책임이 큰 ‘6개월 당대표’보다 부담 없는 ‘9개월 비대위원장’에 관심을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80석 다수당, 집권여당의 비대위원장과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을 맡아 전국을 누비는 것이 차기 대선에 도움이 된다는 계산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여권 핵심부는 부분 개각도 검토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부터 장관직을 수행한 ‘원년 멤버’를 중심으로 일부 내각을 교체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강경화 외교부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 정경두 국방부장관 등이 대상이라고 한다. 노형욱 국무조정실장도 개각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은 국민권익위원장에 기용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인적쇄신 역시 관심사항이다. 문 대통령 취임 3주년을 맞아 코로나19로 침체된 국정분위기를 일신하고 임기 후반 원활한 국정수행을 위해 인적쇄신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180석’으로 민주당이 힘을 가진 만큼 코로나19위기극복, 경제위기 극복,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비서진을 구성하겠다는 복안이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6주 연속 상승하며 지난 2018년 10월 셋째 주 이후 처음으로 2020년 4월 넷째 주 60%대에 진입한 것을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인적 시스템을 짜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3년간 문 대통령을 보좌했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후임으로 서훈 국정원장이 거론되고 있다. 남북관계를 한 단계 더 진전시킬 수 있는 최적임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 교체여부는 불투명하다. 일각에선 후임으로 몇 사람을 거명하고 있으나 설득력이 떨어진다.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 흐르고 또 흐른다. 봄이 가고 여름이 오고,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고, 그리고 추운 겨울이 온다. 역사도 마찬가지다. ‘추이(推移)’라 한다. 대자연의 법칙이다. ‘180석 슈퍼여당 시대’를 이끌 당 정 청의 개편도 ‘권력의 추이’에 따라야 한다. 누가 ‘시중(時中)’의 한 수를 두는가.

조한규 중소기업신문 고문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