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와 자동차 등 주력산업 부진 심각…중소기업들 한숨

▲지난달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가 반등했지만 제조업 사정은 더욱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황이 열악한 제조 중소기업들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어 정부의 지원과 대기업들의 상생정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신문=박진호 기자] 지난달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가 반등했지만 제조업 사정은 더욱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방역정책이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방역으로 전환하고 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서 내수 시장은 숨통이 트였지만 코로나19로 수출길이 막힌 제조업의 피해는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대기업에 비해 여건이 열악한 중소기업들의 비명도 더욱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4월 전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2.5% 줄어들며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0.5% 증가했다. 2월(-3.5%)과 3월(-4.4%)의 감소에서 석 달 만에 반등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12.7%)이 두 자릿수 반등을 기록했다. 협회·수리·개인(9.6%), 정보통신(2.9%), 교육(2.8% 등도 늘었다. 하지만 운수·창고업(-2.9%), 금융보험업(-0.5%), 도·소매업(-0.2%) 등은 감소했다.

소비도 늘어났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5.3% 늘어나며 넉 달 만에 증가했다. 올해 들어 소매판매는 1월(-3.1%), 2월(-6.0%), 3월(-1.0%) 등으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20.0%)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승용차 등 내구재(4.1%)와 화장품 등 비내구재(1.6%) 판매가 모두 늘었다.

이는 방역정책 전환과 재난지원금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 11일부터 재난지원금 신청을 받기 시작해 13일부터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가구 80만원, 4인 이상 가구 100만원씩을 지급했다. 이는 소비심리 회복으로 이어졌다. 한국은행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주요한 6개 지수를 표준화한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77.6으로 전월대비 6.8포인트 상승했다.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2월 96.9에서 3월 78.4, 4월 70.8로 석 달 연속 지수가 곤두박질치다 첫 반등한 것이다.

문제는 제조업이다. 광공업 생산이 6.0% 감소했다. 이는 2008년 12월(10.5%) 이후 11년 4개월 만에 최대 감소다. 제조업 생산이 6.4%나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15.6%)가 2008년 12월(-16.9%) 이후 최대폭 감소했다. 전자부품(-14.3%)과 자동차(-13.4%)도 부진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68.6%로 5.7%포인트 하락, 2009년 2월(66.8%) 이후 11년 2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낙폭은 2008년 12월(7.2%포인트) 이후 최대다.

문제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세계 무역 시장이 언제 회복될지 알 수가 없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중소기업계의 한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고 앞으로 사태가 길어질 경우 버틸 기업은 많지 않다”며 “정부는 물론 대기업들도 협력사를 배려한 상생정책을 강화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