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계·기업 부채 역대 최고, GDP 두배 넘어
은행 대출연체율도 오름세…내년 3월 이후 걱정
"코로나 장기화로 가계·기업 채무상황능력 악화"

▲ 코로나19 장기화로 중소기업은 물론 자영업자·가계의 매출감소와 소득절벽이 현실화하면서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는 금융빚의 급격한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가계·기업의 금융빚이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생활고와 경영난을 겪는 서민들과 중소기업들은 앞다퉈 금융기관에 손을 벌리고 있고 부동산·주식 투자자금용 대출까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민간이 빌린 금융권 대출은 나라경제 규모의 두배를 넘어섰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실물경제 위축이 계속되고 민간 부분의 소득감소가 이어질 경우 은행은 물론 제2금융권의 여신 건전성은 빠르게 악화할 수밖에 없어 대규모 부실대출 '폭탄'이 터질 수 있다는 경고음이 나온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기준 민간 부문의 신용(가계·기업의 부채)은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06.2%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 말(201%)과 비교해 5.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5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계 신용의 경우 2분기 말 기준 가계 부채는 1637조3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5.2% 늘었다.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신용대출 포함)이 각각 6.4%, 3.9% 증가했다.

6월 이후 대출 증가세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주택관련 대출과 기타대출은 5월 말보다 각각 15조4000억원, 17조8000억원 급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액보다 81.2%, 93.3% 많은 수준이다. 

이처럼 가계빚이 빠르게 불어나고 있지만 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2분기 말보다 0.7%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166.5%로 높아졌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2년 4분기 이후 최고 기록이다.

기업 신용은 2분기 말 기준 2079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1897조1000억원) 대비 9.6% 증가했다. 지난 2009년 3분기(11.3%)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대출 원리금은 물론 이자상환도 힘들어하는 차주가 계속해서 늘고 있는 상황이다. 내년까지 실물경제 위축이 지속되고 실업과 자영업자의 줄폐업이 이어질 경우 금융권의 여신 건전성은 빠르게 악화할 수밖에 없다.   

한은도 "코로나19 장기화로 국내외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향후 기업의 신용위험이 증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취약가구를 중심으로 가계부채 부실이 늘어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은행권의 대출 연체율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0.36%로 전월대비 0.03%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0.44%로 6월 말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29%로 한 달 전보다 0.08%포인트 올랐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47%)은 0.04%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0.26%)도 전월대비 0.01%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의 연체율이 0.17%로 한 달 전과 비슷했지만, 신용대출 등 나머지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0.45%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문제는 연체율이 경기 후행지표인 만큼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대출부실 등 실질적인 타격이 내년 상반기에 본격적으로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코로나19 피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대출 만기연장·상환 유예 지원이 종료되면 그동안 가려져 있던 부실채권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매출 부진으로 이들의 채무상환 능력이 저하되고 있지만, 원리금 상환유예 등 각종 금융지원 조치로 아직까지 신용위험이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가계·기업대출의 부실이 커질 수 있고, 내년 3월 금융지원 조치가 끝날 때 건전성 지표가 악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