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사건사고에 연체율 악화…부실업체 '수두룩'
상반기 대출채권 감사보고서 제출 업체 6곳 불과
"P2P시장 부실위험 증가…체질개선 산 넘어 산"

▲ 각종 사건사고에다 여신심사능력 부족에 따른 연체율 증가 등 P2P업체들의 경영상 문제가 속출하면서 P2P시장을 둘러싼 부실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P2P금융업계를 둘러싼 부실 우려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에 제대로된 감사보고서를 제출할 수 있는 P2P업체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데다 연체율 등 리크스 관리에 실패한 영세업체들의 경영난도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각종 사건사고로 땅에 떨어진 P2P업계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선 부실업체를 걸러내는 강력한 옥석가리기가 필요한 상황에서 업계 스스로 '환골탈태'에 성공할 수 있을지를 놓고 기대보다는 회의적인 시선이 더 커지는 모습이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연계투자금융업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P2P법) 시행을 앞두고 금감원이 P2P업체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시행 중인 가운데 지난달까지 총 237곳 중 92곳만 대출채권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냈다.

앞서 금감원은 전국에서 영업 중인 240여곳의 P2P업체에 공문을 보내 대출채권에 대한 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업체들이 가짜로 대출채권을 만들어 투자금을 횡령하거나 돌려막기를 하는 데 쓰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들 업체 중 6개사는 올해 상반기 기준 감사보고서를 냈지만, 나머지 86개사는 지난해 기준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나마 금감원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업체의 대부분이 작년 말 기준으로 '적정 의견'을 받은 감사보고서를 낸 것이다.

그동안 고속성장을 거듭해온 P2P시장에는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이 허술한 점을 틈타 검증되지 않은 업체들이 난립하면서 투자 사기, 횡령, 과장 광고 등 부작용이 속출해왔다.  

금감원은 지난 2018년 P2P업체 178곳을 대상으로 P2P대출 취급실태 점검을 벌여 사기·횡령 혐의가 포착된 루프펀딩, 아나리츠 등 20개사에 대해 검찰과 경찰에 수사 의뢰를 했다.

당시 금감원의 P2P대출 영업행태 및 투자자 보호 실태 점검 결과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동산담보대출 등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견됐고, 이런 문제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관련한 피해 규모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업체들의 부실한 리스크 관리 역량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금감원이 제출한 'P2P업체 현황' 자료를 보면 P2P업체 평균 연체율은 2017년 말 5.5%에서 2018년 말 10.9%으로 2배 가량 상승한 이후 2019년 말 11.4%, 올해 8월 말 11.8% 등 매년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낮은 연체율을 기록 중인 P2P업체 중에서도 이른바 '돌려막기'로 연체율을 낮춘 경우도 있어 낮은 연체율만 보고 자금을 투입하는 투자자들의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난 2015년 이후 빠르게 성장한 P2P대출 시장은 최근 들어 부동산대출 쏠림 현상과 과도한 투자자 유치경쟁, 고금리 영업 등으로 도입 취지가 퇴색됐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P2P업체의 여신심사능력 부족 등으로 부실이 증가하는 경우 대규모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P2P업체들 스스로 환골탈태하지 못하면 시장 자체가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그 어느 때보다 크다"며 "대부분의 업체들이 경영상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업계 스스로의 자정노력으로 체질개선에 성공하기까지 그야말로 '산 넘어 산'인 형국"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