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주택대출에 신용대출도 조이기 돌입
제2금융권·대부업체도 가계대출 심사 강화
대출한도·우대금리 줄이고 저신용 차주 꺼려

▲ 금융당국의 대출규제 강화로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권의 가계대출 영업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서민가계의 '돈 빌리기'가 힘들어지고 있다. 사진=연합

[중소기업신문=이지하 기자] 금융권의 가계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열풍과 맞물려 빠르게 불어나던 신용대출에 대한 본격적인 옥죄기에 돌입했고,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과 대부업체들도 저신용자를 중심으로 여신심사를 강화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대출규제 강화로 금융권의 가계대출 영업은 연말로 갈수록 위축될 수밖에 없어 서민가계의 '돈 빌리기'는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은행권은 올해 12월까지 월별 신용대출 증가 폭을 점진적으로 축소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인터넷전문은행을 포함한 18개 국내 은행은 신용대출 잔액 현황과 증가율 관리 목표 등을 담은 자료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다.

앞서 금감원은 각 은행 여신담당 임원들과 회의를 열어 신용대출 수요 조절 방안을 논의한데 이어 지난달 25일까지 신용대출 관리 방안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당국 입장에서 부동산 자금 유입 차단 등을 위해 신용대출 급증세를 진정시키고 대출 총량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 7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29조1992억원으로 전월대비 2조6760억원 늘었고, 8월에는 사상 최대인 4조755억원이 증가했다. 당국의 신용대출 규제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당장 필요하지 않지만 규제전 미리 신용대출을 받아두는 가수요가 몰린 영향이다. 

이처럼 신용대출 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지자 금융당국의 경고에 은행들은 주력 신용대출 상품을 중심으로 대출 한도·우대금리 축소 등의 방안을 꺼내 들었다. 은행권은 연말까지 상품별 최대 대출 한도를 종전 2억~4억원에서 1억5000억~2억원으로 축소할 방침이다. 신용등급 1∼2등급의 고신용자 기준으로 볼 때 소득 대비 대출 한도가 200%에서 150% 이내로 작아지는 것이다. 

우대금리는 은행별로 10∼40bp(1bp=0.01%포인트) 축소하기로 했다. 우대금리는 해당 은행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부가 조건에 따라 부여되는 것으로, 우대금리 폭을 줄일 경우 신용대출 금리는 그만큼 올라가게 된다. 

급전이 필요한 가계 입장에서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등 각종 부동산대출 규제 시행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큰 폭으로 줄어든 상황에서 신용대출 마저 받기 어려워지는 셈이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카드사, 보험사 등 제2금융권의 대출문턱도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6월부터 제2금융권에도 DSR을 관리지표로 본격도입하면서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심사가 한층 깐깐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올해 상반기 중 4조4000억원 줄어 지난해(-3조4000억원)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제도권 대부업체들도 저신용자 대출 취급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나이스평가정보 기준으로 대부업체를 이용한 저신용자(7∼10등급) 수는 2017년 말 413만명에서 지난해 말 353만명으로 60만명(14.5%) 가량 줄었다.

지난해 12월 말 대부업체 이용자는 177만7000명으로 6개월 전(200만7000명)보다 23만명(11.5%) 줄었고, 대출 잔액은 15조9000억원으로 8000억원 감소했다. 유형별로 담보대출이 9000억원 늘어난 반면 저신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신용대출이 1조7000억원 급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조치에 따른 금융사들의 연이은 대출 조이기는 급전이 필요한 가계의 자금 융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가뜩이나 코로나19 장기화로 금융사들의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에서 부실위험이 높은 취약계층을 꺼리는 기조는 더욱 강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