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우세종화, 7천명 확진 시 방역체계 개편"

2022-01-20     손원태 기자
오미크론 우세종. 사진/연합뉴스

20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608명이 나오면서 한동안 주춤했던 확산세가 다시 폭증하고 있다. 신종 변이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자리 잡으면서다. 이에 정부도 일평균 확진자가 7000명대로 진입할 경우 '오미크론 대응단계'로의 방역체계 전환을 예고했다. 

다만 늘어나는 확진세와 달리 위중증 환자 수는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어 고위험군 위주로 진단·치료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 대응단계 관련해 "요일별 확진자 발생 추이를 고려해 (하루) 7000명대로 평균 추세가 형성되면 전환을 시작하게 된다"고 밝혔다.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65세 이상부터 우선순위를 두며 진행하고, 이외 검사자는 동네의원 등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게 한다는 식이다.

손 반장은 "지역사회 확진자 기준으로 7000명 정도의 확진자 선이 형성되는 것을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있다"며 "이 때를 시작 시점을 잡아 운영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진단검사나 의료 체계가 7000명을 넘는다고 감당하지 못하는 수준은 아니"라며 "의료 및 진단검사 체계 변화가 안착하고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기에 앞으로 1~2주의 시간을 갖고 7000명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체계를) 전환하겠다"고 부연했다.

이는 오미크론 확산세가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하루 확진자 수가 7000명을 넘어서면 즉시 '대비단계'(일일 확진자 5000명까지)에서 '대응단계'로 전환한다는 당초 정부 발표보다는 일부 완화됐다. 

오미크론 대응단계에 돌입하면 진료체계는 동네 병·의원 중심으로 개편된다. 현재는 생활치료센터, 감염병전담병원 등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별도의 의료기관이 운영되지만, 앞으로는 지역 이비인후과 등이 코로나19 1차 대응 의료기관으로 역할을 한다.

대응단계에서는 PCR 검사도 유증상자, 고위험군, 고령자, 밀접접촉자 등으로 범위를 좁히고, 신속항원검사를 확대 시행한다. 재택치료·자가격리 기간도 10일에서 7일로 줄일 계획이다.

하지만 동네병원의 참여와 신속항원검사 활용에 대한 준비 여부가 관건이다. 이에 정부는 21일 오미크론 관련 의료체계 대응 계획을 발표한다.

손 반장은 "동네의원이 오미크론 대응에 참여하는 것은 점진적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중증 환자에 집중하는 체계로 전환하는 것은 경증·무증상 환자의 의료 제공력이 다소 약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재택치료 관리 등에서 지자체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또 내달 3일까지 적용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아프리카 11개국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도 오미크론 대응단계 돌입에 따라 일부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손 반장은 "현재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전환되고 있는 기점"이라며 "완전히 우세종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이는 향후 설 연휴 3주간이 중요하다"고 내다봤다. 이어 "(감염 예방) 실천 방법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