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세트 더 준비해야 하나"…오염수 방류에 유통업계 고심
수산단체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 물질 검출되면 조업 전면 중단할 것"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가 24일 시작되면서 추석 대목을 앞둔 유통업계의 고민이 깊어졌다. 소비자들이 수산물 선물세트를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할 경우 재고 축적으로 인한 손실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체 상품으로 한우 물량을 추가 확보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백화점,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들은 전복, 옥돔, 굴비 등을 중심으로 올 추석은 물론 내년 설까지 염두에 두고 수산물 선물세트 물량을 확보해 둔 상태다.
또 수산물 대신 육류나 과일류를 찾는 고객이 급증할 경우를 대비해 단기에 한우 물량 추가 확보가 가능한지 검토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연안어업인중앙연합회는 이날 '국내산 수산물은 안전하다'는 취지의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며 "국제기구와 저명한 과학자들이 밝혔듯 우리 바다, 우리 수산물은 절대 안전하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원하지 않았으나 원전 오염수 방류는 현실이 됐다"며 "어업과 수산업 생산액 감소가 현실화하면 조속히 지원할 수 있는 범정부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수협중앙회를 비롯한 수산단체가 참여하는 '일본 원전 오염수 대책위원회'는 성명서를 내고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 물질이 수산물에서 검출될 경우 조업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이어 "국회와 정부는 국민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소비할 수 있도록 방사능 감시체계 강화와 수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수협중앙회는 오는 25일부터 비상상황실을 가동해 수산물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전국 위판장과 양식장의 방사능 검사를 지원하는 등 수산물 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정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국민이 참여하는 시식회 또는 소비 캠페인을 통해 대대적인 소비 진작 활동에 나선다.
나아가 수산물 생산, 유통, 소비 등에서 급격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정책과제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국회와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