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삼성·LG 아닌 지니TV가 8K 업스케일링"
셋톱박스 단순 '미디어'에서 'AI' 허브로 진화
화면 밝기, 실시간 자막, 사운드 최적화 등 기존 TV 기능 담아
KT가 AI 기반의 8K 업스케일링 기능 등 여러 AI 활용 기능을 포함한 ‘지니 TV 셋톱박스 4’를 선보였다. 다양한 생활 편의 기능을 통해 셋톱박스를 미디어 허브로 한정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AI 허브로 발전시키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KT는 5일 서울 중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신 AI 기술을 적용한 온디바이스 AI 셋톱박스 ‘지니 TV 셋톱박스 4’를 공개했다. AI 기반의 8K 업스케일링 기능, AI 시청 퀵모드, AI 배경화면 등 세 가지 기능을 구현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김훈배 KT 미디어플랫폼사업본부장 전무는 “지니 TV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모두 갖춰 제공하는 미디어 허브로서의 역할, 볼거리를 가장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며 “추가로 이제 생활 편의 기능을 강화해서 미디어 허브가 아닌 AI 허브로서 사용자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지니 TV 셋톱박스 4는 세계 최초로 IPTV 셋톱박스에 8K UHD 칩셋을 탑재해 AI 기반의 8K 업스케일링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칩셋은 해당 기기에 탑재된 성능이 50% 향상된 CPU(중앙처리장치)와 AI 전용 프로세서(NPU)를 통해 콘텐츠의 화질과 사운드를 최적화하고 고객 시청 데이터를 학습해 최적의 경험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 방송,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유튜브 등 기존 풀HD·4K 콘텐츠를 초고화질로 감상 가능하다. 8K 가전이 아니더라도 AI 화질 최적화 기술이 TV 사양에 맞춰 최상의 화질을 구현해준다는 설명이다.
또 AI 시청 퀵모드를 제공하고자 지니 TV 셋톱박스 4에 조도 센서, 4개의 마이크, 안드로이드 OS(운영체제) TV 14, 돌비 애트모스를 장착했다. 이를 활용해 TV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화면 밝기와 볼륨을 자동을 조절해준다.
예를 들어 지니 TV 셋톱박스 4는 주위가 밝으면 TV 화면을 밝게 하고, 어두워지면 화면을 어둡게 한다. 영화, 드라마, 스포츠 등 콘텐츠 장르에 따라 최적화된 사운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목소리 기능’으로 대사를 더 선명하게 구현한다.
아울러, ‘AI 골라보기 기능’은 시청하는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인물이나 장면만 빠르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 청각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AI 수어’ 기능은 긴급 재난 방송 시 AI 휴먼이 실시간 수어 통역을 제공한다. 영상 내 대사를 바로 인식해 자막을 표출해주는 ‘AI 실시간 자막’ 기능도 제공하는데, 내년에는 지원 언어를 더욱 확대한다.
유현중 KT 미디어플랫폼 담당 상무는 “올해 12월 한국어 자막을 시작으로 내년도에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를 추가적으로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조도 센서를 셋톱박스에 처음으로 채용해 재실 감지 기능도 지원한다. 해당 기능과 함께 고객의 미디어 이용 패턴을 학습해 자주 사용하는 시간대에 TV 앞에 사람이 오면 자동으로 TV를 켜준다.
이외에도 생성형 AI를 활용해 TV화면을 생성해주는 ‘AI 배경화면’ 기능을 탑재했다. 생성형AI를 활용해 날씨, 계절 시간대에 맞는 배경화면을 추천받을 수 있으며 오늘의 날씨·추천 도서 한 문장, 실시간 인기 채널 등 다양한 정보를 대시보드 형태로 보여준다. 연말까지 600편가량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며 향후에는 교통정보, 뉴스, 일정, 메모 등의 정보도 추가한다.
조만간 주소를 바탕으로 지역정보를 보여주는 하이퍼로컬 서비스 ‘우리동네 TV’도 런칭한다. 속해 있는 지역의 모든 정보를 보여주며 음식 주문·결제, 배달까지 전부 음성으로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 TV 주변의 가전기기를 음성으로 더욱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가전 기기 연결 과정까지 개선했다. 가전 기기의 전원을 키면 셋톱박스가 리모콘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고 TV 화면에서 자동으로 연결 안내 표시를 해준다. 가전 기기 연결 후에는 음성 명령을 통해 공기청정기, 에어컨, 조면, 커튼, 로봇 청소기 등을 제어 가능하다.
AI 활용이 활발해지는 IPTV 시장에서 KT는 다양한 센서와 함께 작용해 제공하는 더욱 다양한 AI 서비스를 경쟁사와 지니 TV 셋톱박스 4 간의 차별점으로 꼽았다. 윤진현 KT 미디어연구개발담당 상무는 “온바이스 AI가 최근에 많이 사용되면서 타사도 적용하고 있는데, KT는 단순히 NPU뿐만 아니라 조도센서, 마이크 등 셋톱박스 안에 탑재된 다른 센서들과 함께 작동하면서 더 다양한 종류의 AI 서비스를 도입했다는 것이 차별점이 아닐까 싶다”고 언급했다.
한편, KT는 지니 TV 셋톱박스 4에 적용된 주요 AI TV 기능을 내년 상반까지 기존 셋톱박스 모델에도 순자적으로 확대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