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LNG 엇갈리는 한-미
"투자 의지부터" VS "타당성 검토부터"
카타르·오만 대체, 6.7달러 가격 이점…트럼프 임기 끝난 '30년에나 가능
미국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가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카드로 부상되면서, 확실한 투자 약속을 원하는 미국과 사업성 검토를 우선시하는 한국 간 줄다리기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27일 통상 당국에 따르면 지난 24일 한미 통상 협의에서 우리나라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해 실사단을 곧 파견하는 등 사업성을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북극권 동토인 알래스카 노스슬로프 지역에서 난 천연가스를 새로 건설할 약 1300여㎞ 가스관을 거쳐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수송하는 계획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10년 전에도 검토됐지만 사업 리스크가 커 액손모빌 등 미국 에너지 기업들이 손을 떼 오랫동안 진척되지 못하고 있었다. 초기 사업비는 약 450억달러(64조원)로 추산된다.
미국 측은 LNG의 핵심 수요지인 일본, 한국, 대만이 장기 구매에 나서기를 희망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지난 3월 의회 연설에서 "일본, 한국, 그리고 다른 나라들이 각각 수조달러씩 투자하면서 우리의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백악관 '국가 에너지 지배력 위원회'가 오는 6월 2일 알래스카에서 개최하는 고위급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 등이 LNG 투자의향서에 서명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한국가스공사도 1990년대부터 이어온 카타르·오만과 장기 계약을 끝내고 도입선을 조정 중이기에, 사업성만 검증되면 알래스카 LNG를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알래스카 주정부는 동아시아 공급 가격을 MMBtu(25만㎉ 열량을 내는 가스량) 당 6.7달러 수준까지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앞선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업성과 안정성이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에서 환경 보호 문제로 정권이 바뀔 때마다 알래스카 자원 개발에 관한 정부 정책이 크게 바뀌고 있어, 트럼프 신정부 임기가 끝난 뒤인 2030년에나 상업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로서는 LNG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다 계획했던 시점에 약속된 물량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면 대규모 국내 LNG 수급 위기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알래스카 측이 생산 개시 시기와 연도별 도입 예상 물량 등 구체적 청사진을 먼저 제시해야 하며, 현지 실사단 파견을 통해 사업 계획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현지 실사 등이 남은 상황에서 정부 안팎에서는 6월 3일 대선 요인까지 고려했을 때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에 관한 구체적 결정은 차기 정부가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4일 한미 통상 협의 이후 브리핑에서 "이 사업이 성사돼 알래스카 LNG가 가용하게 된다면 한국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에너지원이 될 수 있어 신중하게 검토 중"이라며 "모든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면밀하게 파악해서 (참여가) 가능할지, 언제 어느 정도 규모로 될 것인지 확인이 된 다음에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