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가계대출 6.5조 급증…10개월만에 최대
주택가 추가 상승 기대·7월 DSR 앞두고 막차수요 몰려 한은 "6·27 부동산 대출 규제 효과는 8월에 나타날 것"
지난달 은행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이 6조5000억원 급증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추가 상승 기대감이 시장 과열로 이어진 데다가 7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강화를 앞두고 '막차 수요'까지 몰린 탓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6·27 부동산 대출 규제가 점차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지만 지난 5~6월 거래된 주택 매매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7~8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9일 한은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5월 말보다 6조2000억원 증가한 116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계대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지난해 8월(+9조2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의 최대폭 증가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23조1000억원)이 5조1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7조4000억원)이 1조1000억원 각각 늘어났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지난해 9월(+6조1000억원)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가계대출이 주택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며 "주택거래 영향이 시차를 두고 반영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기타대출은 반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이 계절적 감소 요인이지만 이번에는 주식투자와 생활자금 수요가 그 효과를 상쇄하면서 전월과 비슷한 규모로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전망에 관해선 "지난 5월 급증한 주택거래량의 영향으로 7~8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 차장은 6·27 대출 규제와 관련해 "주택시장 과열을 진정시키고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역 간 풍선효과, 금융권 가계대출 행태 등을 계속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6조5000억원 늘며 전월(+5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커졌다.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대출 항목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6조2000억원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3000억원 늘었으나 전월(+4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다소 줄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확대된 것과 달리 2금융권은 3000억원 늘어 전월(+7000억원) 대비 증가 속도가 느려졌다.
은행의 기업대출은 지난달 말 1343조원으로 전월 말보다 3조6000억원 줄어 지난 3월(-2조1000억원) 이후 3개월 만에 감소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대출이 3조7000억원 줄었고 중소기업 대출은 1000억원 늘었다.
한은은 "일부 대기업이 수출대금 외화매도 대신 한도대출로 운전자금을 조달하다가 이를 상환하면서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은행 수신(예금)은 지난달 말 잔액이 2460조원으로 한 달 전보다 27조3000억원 불었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반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38조4000억원 증가한 반면 정기예금은 예수금을 확충한 은행들의 자금조달 유인이 낮아지면서 7조1000억원 감소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20조5000억원)를 중심으로 1조3000억원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