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재생e 타고 ‘ESS' 내수시장도 열린다
이재명 정부 2026년도 예산안, RE100 산단 조성 등 대폭 증액
韓 재생에너지 비율 2.6%로 낮아…제11차 전기본과 조정 필요
이재명 정부가 2026년도 예산안에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확대 의지를 담으면서 2차전이 업계에 내수시장이 열릴 전망이다.
1일 정부에 따르면 2026년도 예산안에는 RE100 산업단지 조성과 차세대 전력망 구축 예산으로 올해 대비 1조4000억원 늘어난 4조2000억원을 배정했다.
이중 RE100 산단 예산에는 ESS 설치 관련 내용이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 RE100 산단은 재생에너지로만 전력을 공급하는 산업단지로, 재생에너지는 불규칙한 발전량으로 인해 ESS 동반 설치가 필수적이다.
중국의 경우 태양광발전소 규모에 맞춰 최소 5%에서 30%에 달하는 비율로 ESS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RE100 산단 유력 후보지로 꼽히는 솔라시도는 현재 연간 약 129GWh 생산 중으로, 필요한 ESS 규모는 5%로 잡아도 약 6.45GWh다. LG에너지솔루션 최근 3년 약 6조원 규모의 ESS LFP 배터리를 수주했고, 업계에서는 약 50GWh 추정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면 현재 솔라시도에만 필요한 ESS 배터리 규모는 최소 7000억원에서 2조원 대에 이른다.
이 규모는 향후 RE100 산단이 본격적으로 조성되면 더 커질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1개 당 연간 전력 소비량은 평균 57.2GWh로, 현재 솔라시도 규모는 산업단지를 육성하기엔 부족하다.
이재명 정부가 재생에너지와 ESS 설치 지원을 비한 예산안도 편성하면서 RE100 산단 외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도 예산안에는 신규 ESS 설치비용 지원에 1000억원,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융자·보조금을 기존 5000억원에서 9000억원으로 확대,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정책융자·보증 강화 예산을 기존 4000억원에서 6000억원으로 증액했다.
우리나라의 ESS 누적 설치량은 중국, 미국은 물론 호주, 인도에도 크게 뒤쳐진 편이며 이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낮은 영향이 한몫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비율은 2023년 기준 2.6%로 일본 7.8%, 호주 9.8%. 미국은 8.4%보다 낮으며 유럽은 두 자리수 대로 타지역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글로벌 ESS 시장에서 54%는 저장 후 전력이 부족할 때 판매하는 에너지이동용으로 사용됐다. 이어 주거용이 23%로 2위를 차지했다. 2030년에는 에너지이동용이 66%, 주거용은 14%로 변화할 전망이다. 즉 산업계에서 재생에너지 설치가 늘어야 ESS도 함께 성장세를 가파르게 누릴 수 있다.
특히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확대 과정에서 ESS 설치 의무화까지 도입되면 시장 성장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있다. 미국 일부 주와 중국, 인도는 총설치량 또는 발전소 규모에 따라 ESS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공공기관 대상으로는 의무화를 도입 중이다.
최근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제10차 대비 태양광과 풍력발전 보급 전망을 6.2GW 상향했다.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21.6%, 2038년은 32.9%(115.5GW)까지 높이는 걸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ESS 설비는 23GW가 더 필요하며, 관련 예산 40조원 추정된다.
한 가지 지켜볼 점은 윤석열 정부에서 세워진 제11차 전기본에 이재명 정부가 RE100 산단 어떻게 반영할지다. 기존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에 RE100 산단 발전량을 포함시킬지, 아니면 별도로 배정할지에 따라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정부는 2026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며 "RE100 산단 조성에 필요한 신규 전력망 선제 구축(250억원)과 신규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으로 차세대 전력망 산업 육성(702억원)"하고 "20년 이상 경과한 노후산단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해 모든스마트그린산단 대상 신재생에너지, ESS 구축 등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