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유엔 참전용사 국제 추모의 날' 국민대표로 헌화
대한노인회장을 맡고 있는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11일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린 ‘제19회 유엔 참전용사 국제 추모의 날’ 기념식에 국민대표로 참석해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 참전용사들의 숭고한 헌신과 희생을 추모했다.
국가보훈부는 매년 11월 11일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유엔 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기념식인 ‘부산을 향하여(턴투워드 부산, Turn Toward Busan)’를 진행하고 있다. 기념식에는 권오을 국가보훈부장관, 박형준 부산시장, 박수영 국회의원(부산 남구), 6.25전쟁 참전 22개국 대사, 보훈단체장, 유엔 참전용사와 가족, 유족, 국내 참전용사, 유엔군사령부 장병 등 8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올해는 세대를 아우르는 국민대표 4인이 헌화에 나서 눈길을 끌었다. 국민대표로 참석한 이 회장은 “매년 11월 11일은 ‘유엔 참전용사 국제 추모의 날’로 전 세계가 한국 시간 오전 11시에 맞춰 1분간 참전용사들이 안장된 부산 유엔기념공원을 향해 묵념한다. 우리나라를 위해 6.25전쟁에서 희생한 유엔 참전용사들을 기념하는 시간인 만큼 많은 분들이 함께 추모에 동참해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 참전용사의 숭고한 헌신과 희생에 감사의 의미를 담은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제안하고 있다.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지난 8월에는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공휴일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으며, 지난 9월에는 40만 명이 동참한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 서명부’가 국회에 제출되기도 했다.
이날 이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이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으로 낯선 땅 한국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 걸고 싸운 유엔 참전용사의 희생 덕분에 오늘날 세계 경제 10위권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다”며 “유엔데이를 국가 공휴일로 재지정한다면 장차 외교 관계에도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유엔 참전용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2015년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 2.7m 높이에 국가별 상징작품과 승리의 상징 월계관 등이 새겨진 23개(한국 포함) 유엔 참전국 참전비 건립비용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외에 올바른 역사 인식을 전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 그대로를 일지 형태로 기록하고 나열한 '6·25전쟁 1129일'을 국내외 기관과 해외 참전국에 1000만부 이상 무상으로 배포하기도 했다. 부영그룹 역시 2023년 공군 하늘사랑장학재단에 100억원 기부를 포함해 ▲국가보훈부 ‘제복의 영웅들’ 프로젝트 후원 ▲6.25재단 후원금 10만달러 기탁 ▲격오지 부대 시설개선 지원 28억 원 기증 ▲군부대 위문품 전달 등을 이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