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지난 16일(미국 시간) 미국 국채 10년물의 금리가 연 1.31%를 기록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 금리 상승은 유동성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주식시장 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국채 금리의 상승이 기준금리 인상의 신호탄이 될 것인가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미 국채 금리 인상의 배경은 지난해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풀린 1조9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금의 회수 문제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기미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의 압력이 대두되면서부터다. 그런데 국채 금리 상승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의외로 차분하다. 긴축을 예상해 금리가 인상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긴축 재정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일단은 지켜보자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우리 주식시장도 미 금융 당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하거나 양적완화를 축소한다는 시그널을 보내기 전까지는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분위기다.

지금 미국에서는 미국 국채 금리가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한 현상을 두고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논쟁’이 한창 벌어지고 있다. 인플레이션론자들은 예상보다 물가 상승폭이 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더블라인캐피털 대표인 제프리 건들락은 올해 중반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3.0%까지 오를 것이라 주장한다.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는 “한 세대 내에서 보지 못한 인플레이션의 압력(inflationary pressures of a kind we have not seen in a generation)”이라는 강력한 표현을 사용하면서, 2022년에는 미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반면 제롬 파웰 미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보다 완전 고용 달성에 정책의 방점을 찍고 있다. 그는 실업률 3.5% 목표 달성할 때까지는 현재의 양적완화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지난해 무제한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금리인상의 여지를 단호하게 차단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적자재정에 얽매이지 않고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해도 된다는 현대화폐이론(MMT)의 창시자인 스테파니 켈턴 뉴욕주립대 교수가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 참모로 활동하고 있어 인플레이션을 감수하더라도 제로금리 기조에는 변함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 국채의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미국을 포함한 세계 금융시장이 술렁거리기는 했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예상이 합리적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종식되지 않는 한 언제 또 다시 작년과 같은 경기 침체 현상이 나타날지 모른다. 다시 말해 정상적인 경제 상황으로 돌아오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올해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발생하더라도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에는 부작용이 더 클 가능성이 높다.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코스피 전망치를 3700포인트로 상향 조정했다. 이와 같은 골드만삭의 시각은 미국 국채 금리의 인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지금은 양적완화로 풀린 돈을 어떻게 활용하느냐를 고민해야 한다.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금리인상이나 긴축재정을 논할  시기가 아니다.

이원호 중소벤처무역협회 해외시장경제연구원 부원장·경제학 박사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