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신용대출 6개월새 0.6%p 올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증시와 부동산 시장이 동반 정체를 보이는 가운데 가계대출 금리가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대출로 투자) 등으로 거액의 은행 빚을 짊어진 차주들의 채무상환 능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6%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이 시점은 같은 해 3∼5월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방어 차원에서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0.75%포인트(1.25→0.50%)나 크게 낮춘 뒤 은행 대출 금리에도 저금리 기조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던 때였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4대 은행의 25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34∼3.95%로, 작년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가 6개월 사이 0.6%포인트 뛴 데는 기본적으로 금융채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신용대출의 경우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0.761%에서 지난 26일 현재 0.856%로 반년 만에 0.095%포인트 높아졌다.

금융당국이 본격적으로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크게 줄인 것도 대출금리를 높이는 효과를 냈다.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지표)금리에 거래실적 등을 반영한 우대금리를 빼고 정해지는데, 지난해 말 은행들은 신용대출 규제의 수단으로서 앞다퉈 우대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줄였다.

이러한 가계대출 금리 상승은 신규 차주(돈 빌리는 사람)뿐 아니라 이미 대출을 받은 기존 차주들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최근 신용대출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더뎌진 데는 증시 정체 등뿐 아니라 금리 상승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식이다. 지난 25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35조1747억원으로 지난달 말(135조2390억원)보다 643억원 줄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