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농어촌공사
사진/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어촌공사는 대규모 농업용 담수호를 수질 특성에 따라 통합관리, 유역관리, 수질보전 등 3단계로 분류해 현장 맞춤형 수질개선 연구를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500만톤 이상의 대규모 농업용 담수호는 전체 농업 저수량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넓은 유역에서 여러 오염원의 유입과 농업용수의 반복 재사용으로 수질오염이 가중되고 있다.

공사가 최근 5년간 농업용 호소 975개소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저수지는 수질이 양호한 상태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대규모 담수호는 지난해 전체 16개 중 5개의 담수호가 농업용수 적합 기준인 4등급을 초과했다.

이에 공사는 16개 대규모 담수호에 대해 ▲유역 현황 ▲최근 5년간(2016~2020) 담수호 내 총유기탄소(TOC) 농도와 유역내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배출부하량의 상관관계 ▲담수호 내 시공간별 수질항목별 농도변화 ▲통계학적 분석 등을 종합 분석했다.

이에 따라 통합관리로 분류된 담수호는 4개소로 농업용수 적합 기준인 4등급을 초과하고, 상류 유역 내 배출부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밖에 7개소의 담수호가 제도적 관리가 필요한 유역관리로 분류됐으며, 담수호 5개소는 수질보전으로 분류돼 지속적인 유지와 관리가 필요하다.

공사는 500만톤 이상의 대규모 담수호 16곳에 대해서 오는 2025년까지 수질 개선방안 및 실증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식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유역 말단에 위치한 대규모 담수호는 각 유역관리 주체가 수질개선 의지와 노력을 갖고 협업할 때 개선이 가능하다”며 “공사는 수질개선 시급성 및 지자체의 수질개선 대책 등의 연계를 통해 대규모 담수호 수질개선의 효율성을 높여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