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1.2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8월 1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고, 11월과 올해 1월에도 0.25%포인트씩 두 차례 잇따라 상향 조정했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과 관련해 시장에서는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지만, 연일 사상 최대 확진자 기록을 경신하는 코로나19 상황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불안한 경기 회복세를 고려할 때 이례적으로 기준금리를 세 차례나 잇달아 올리는 데 부담이 컸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작년 8월 이후 기준금리 인상의 효과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 등을 일단 점검한 뒤 추가 인상에 나서도 늦지 않다는 의견도 많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국내 오미크론의 급격한 확산과 최근 시장금리 변동성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추가 인상보다는 동결 가능성이 컸다"며 "1월 금통위 직후 이주열 한은 총재도 세 차례(작년 8·11월, 올해 1월) 금리 인상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고 말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국내 기준금리 인상 효과를 지켜봐야 하고, 연준이 3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실제로 얼마나 기준금리를 올릴지 등에 대한 확인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대선이 끝나고 새 한은 총재가 주재할 4월 또는 5월 회의에서는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우려 등 때문에 기준금리가 한 차례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3.2%) 9년 8개월 만에 3%대에 올라선 뒤 11월(3.8%), 12월(3.7%), 올해 1월(3.6%)까지 넉 달째 3%대를 유지하고 있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에 기준금리가 동결됐지만, 물가 등을 고려할 때 4월 또는 5월 인상이 단행될 것"이라며 "4월의 경우 회의 때까지 신임 총재 인선이 마무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5월 인상이 유력하다"고 봤다. 

그는 다만 "수출과 소비 위축으로 5월께 급격한 경기 둔화가 나타난다면 금통위가 다시 고민에 빠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