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저축은행 부실채권 비율 5.1%…대원 40%·대아 28%
치솟는 금리에 다중채무자들 직격탄 "부실률 관리 힘들어"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영세저축은행의 대출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지역경기 침체 속에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지면서 수익성 악화는 물론 자산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어서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자금난에 시달렸던 자영업자와 서민가계의 고금리 저축은행 대출이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를 맞아 빚을 못 갚는 차주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어 금융권 부실폭탄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예금보험공사의 금융회사 종합정보 공시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자산규모 3000억원 이하 소형저축은행 17곳의 평균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비율은 5.1%로 집계됐다. 

자산규모 3000억~1조원 중형저축은행 30곳의 평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3.3%, 자산규모 1조~2조원 대형저축은행 14곳은 2.8%, 자산규모 2조원 초과 초대형저축은행 18곳은 3.4%였다. 

소형저축은행 가운데서도 건전성 격차가 큰 상황이다. 대원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40.2% 달했고 대아저축은행은 28.6%를 나타냈다. 조흥저축은행(18.8%)과 에스앤티저축은행(10.5%)도 10%를 넘겼다.  

반면 CK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2%에 불과했다. 대명저축은행(1%), DH저축은행(1.8%), 센트럴저축은행(2.1%)도 낮은 수준이었다. 영진저축은행(3%), 오성저축은행(3.4%), 평택저축은행(3.7%), 머스트삼일저축은행(3.8%), 솔브레인저축은행(3.8%), 라온저축은행(3.9%) 등은 4% 이하였다. 

초대형저축은행의 경우 전반적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중소형사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4%였고, 한국투자저축은행 2.2%, OSB저축은행 2.7%, 페퍼저축은행 2.8%, 모아저축은행 2.9%, 애큐온저축은행 2.9%, 웰컴저축은행 4.8%, OK저축은행 7.6%였다. 

은행계열 저축은행의 건전성은 더 좋다. KB저축은행과 NH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각각  1.3% 수준이었고 하나저축은행은 1.6%, 신한저축은행은 2%로 집계됐다. 

문제는 금리 인상 여파에 빚을 갚기 어려운 서민가계와 영세자영업자들이 늘어나면서 부실대출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다중채무자가 고객의 다수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취약한 소득 기반과 영업환경 악화, 금리 인상은 이들의 급격한 대출 부실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올해 들어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은 20~30대를 중심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은 4.3%(1조7330억원) 늘었고, 같은 기간 신용대출은 6.7%(1조9332억원) 증가했다.

6월 말 현재 20∼30대가 저축은행에서 빌린 가계대출 잔액은 14조7532억원으로, 전체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41조9140억원)의 35.2%를 차지했다.

저축은행의 주요 대출고객들이 여러 금융기관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라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나이스(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 중 저축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말 69.9%에서 2020년 말 71.2%, 올해 5월 말 75.8%까지 늘었다. 시중은행 다중채무자 비중(30%)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다중채무자는 가계부채의 가장 약한 고리로 꼽힌다. 이들은 은행의 높은 문턱에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대출을 이용할 수밖에 없고, 기존 빚을 갚기 위해 다른 금융사에서 대출받는 '돌려막기'로 근근이 버티는 경우도 적지 않다.

금융당국도 저축은행권의 대출 부실화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앞서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7월에 열린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들과의 간담회에서 취약차주에 대한 중금리 대출을 지속해 달라고 주문하면서 성장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또 금융위원회는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잠재적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한 소형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방에 거점을 둔 영세저축은행의 경우 부실관리 역량이 대형사나 중형사보다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며 "가뜩이나 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상황에서 대출고객 대부분이 신용도가 낮고 소득이 적은 가계가 많아 부실률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저축은행은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