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난방비 전달 사용량…역대급 한파에 1월 가스사용량 늘어
국민 불만 고조…정부 에너지바우처 확대 등 단기처방책 내놔

올겨울 가정마다 받아든 ‘난방비 폭탄’ 고지서로 국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 문제는 이번 난방비 폭탄이 2월에도 일어나고, 더 큰 충격파가 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주택 가스계량기
올겨울 가정마다 받아든 ‘난방비 폭탄’ 고지서로 국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 문제는 이번 난방비 폭탄이 2월에도 일어나고, 더 큰 충격파가 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주택 가스계량기

올겨울 가정마다 받아든 ‘난방비 폭탄’ 고지서로 국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가스 요금이 지난해 대비 40%가량 올랐다. 문제는 이번 난방비 폭탄이 2월에도 일어나고, 더 큰 충격파가 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1월에 받은 고지서는 지난해 12월 가스 사용량이다. 12월말부터 이어진 역대급 한파 영향에 1월 난방 사용량이 대폭 늘어나면서 2월 고지서는 1월보다 금액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1월부터 9.5% 인상된 전기 요금까지 반영되면 소비자들이 느끼는 에너지 가격 급등 체감은 더욱 클 전망이다.

최근 난방비가 급등한 이유는 지난해 2월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지난해 네 차례에 걸쳐 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된 것이 직접적이다. 

27일 산업부에 따르면 가정에서 난방에 주로 쓰는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해 네 차례(4·5·7·10월) 올랐다. MJ(메가줄·에너지 단위)당 0.43원, 1.23원, 1.11원, 2.7원 오르며 가스공사가 도시가스 회사에 판매하는 도매가는 한 해 동안 총 5.47원(42.3%) 올랐다. 이에 따라 도시가스 회사가 각 가정에 공급하는 요금도 38.5% 인상됐다. 신도시를 비롯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적용하는 열(난방·온수) 요금도 지난해 세 차례(4·7·10월)에 걸쳐 37.8% 올랐다. 열 요금은 도시가스 요금과 연동해 가격을 조정한다.

난방비 인상에는 도시가스 요금에 연동되는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가격이 폭등한 상황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LNG 가격은 MMBtu(열량 단위)당 34.24달러로 전년(15.04달러) 대비 128% 올랐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 영향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급난이 심화됐고, 환율 상승 여파로 LNG 수입단가가 급등한 것이다. 국내 LNG 수입 물량은 1년 전보다 1% 늘었지만, 같은 기간 수입액은 254억5278만달러(약 31조5000억원)에서 500억2218만달러(약 62조원)로 뛰었다.

도시가스 가격 추가 인상도 예고된 상태다. 산업부는 지난해 9조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되는 가스공사의 미수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올해 도시가스 요금을 MJ당 2.6원씩 총 4차례에 걸쳐 올려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가스공사의 미수금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9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차기 정부가 출범하기 전인 2026년까지 이를 해결하려면 (가스요금이) 어느 정도 인상이 돼야 한다”고 했다.

난방비에 대한 국민 불만이 커지자 정부는 부랴부랴 '난방비 절감 대책'을 발표했다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액을 현재의 15만2000원에서 2배로 인상된 30만4000원으로 대폭 인상할 계획이며, 사회적배려대상자에 대한 가스요금 할인액도 현재의 9000원∼3만6000원에서 2배 인상된 1만8000원∼7만2000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117만6000가구에 대해 올겨울 한시적으로 에너지바우처(이용권) 지원 금액을 2배 인상하는 방안이 골자다. 이와 별도로 사회적 배려 대상자인 160만 가구에 대한 가스비 할인 폭도 기존보다 2배 늘린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에 “기존에 제안한 5조원의 핀셋 물가 지원금을 조금 바꿔서, 약 7조2000억원의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을 지급하자”고 제안했다. 재원은 에너지 기업들에 대해 이른바 '횡재세'를 걷어 마련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