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의 컨테이너 수출입 부두. 사진/연합뉴스 
부산항의 컨테이너 수출입 부두. 사진/연합뉴스 

한국무역협회(이하 무협)이 중국 위안화의 약세가 1년 내로 한국의 반도체, 자동차, 화학제품, 식음료품, 가전 수출 감소로 돌아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24일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최근 우리나라 수출 영향 요인 분석' 보고서를 내고 "원/달러 환율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반면, 위안화 약세는 주요 품목의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며 이와 같이 발표했다.

보고서는 최근 강달러 현상에도 불구하고 한국 수출이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올해 미국이 기준 금리를 4회 인상함에 따라 원/달러 환율은 상승했지만, 한국의 수출은 1∼9월 9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올해 1월 1247.25원에서 지난달 1329.47원으로 올랐지만, 전년 동기 대비 월별 수출액 증가율은 올해 1월 16.4%에서 지난달 -4.4%로 줄었다.

보고서는 한국의 대(對)세계 수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도 원/달러 환율의 영향은 미미했다고 봤다.

반면 중국의 산업생산지수, 미국의 산업생산지수, 국제 유가 순으로 수출 변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의 산업생산지수가 상승하면 한국의 수출은 감소하는 것이 뚜렷했다.

무협은 이와 관련해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이 향상하면서 중간재 수입 수요가 감소하는 결과를 낳은 데 따라 한국의 수출도 감소하게 된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실제로 중국의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 구조는 최종재 수출에서 중간재 수출로 변화하고 있어서 한국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에도 직접적인 타격이 되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 증가율은 2021년만 해도 22.6%에 달했지만, 2022년 0.4%로 뚝 떨어지고 올해 1∼9월에는 -24.4%를 기록해 아예 마이너스로 접어들었다.

무협은 이와 같이 중국이 한국의 수출 경쟁국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원/달러 및 엔/달러 환율 이외에도 위안화/달러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무협의 분석에 따르면 위안화 약세는 한국의 주요 품목 수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위안화가 약세로 돌아서면 1년 이내에 한국의 반도체, 자동차, 화학제품, 식음료품, 가전 수출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조의윤 무협 수석연구원은 "향후 '강달러 현상'과 '중국의 경기 침체'가 지속하면서 위안화 약세가 확대될 경우 한·중 수출 경합이 심화하는 품목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며 "수출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한 대응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