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FKI타워 전경. 사진/연합뉴스
한경협 FKI타워 전경.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31일 '기업부실예측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를 발표하고 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검사를 받아야 하는 외감기업 중 부실기업 수가 4000개사를 초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6425개사 중 4255개사(11.7%)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2022년 실제 부실기업 수(3856개사)보다 10.3% 늘어난 것으로, 2019년 이후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다.

부실기업 수 추정치는 한경협이 설계한 기업부실예측모형에 최소자승법을 이용해 도출됐다. 기업부실예측모형은 기업의 재무지표(자산·매출액·부채·이자비용)를 투입해 재무상태가 정상적인 기업이 '부실'로 전환될 확률을 산출하는 모형으로, 2018∼2022년 비금융업 외감기업(10만8244개)의 재무지표를 회귀분석해 설계됐다.

모형에 따르면 기업의 자산·매출액이 늘어날수록 부실 확률(정상 기업이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감소했으며, 부채·이자비용이 늘어날수록 부실 확률은 증가했다.

지표별로 살피면 기업의 자산과 매출액이 1%씩 증가할 때 부실 확률은 각각 0.02%포인트, 0.0004%포인트 감소했다. 부채와 이자 비용이 1%씩 증가하면 부실 확률은 0.02%포인트, 0.00004%포인트 증가했다.

자산 감소와 부채 증가는 변화 폭이 클수록 부실 확률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진다. 자산과 부채가 1% 감소·증가할 때 부실 확률의 증가 폭은 0.02%포인트였지만, 자산이 절반으로 감소하거나 부채가 두배로 증가할 때 부실 확률은 30%포인트 이상 증가해 기업 안정성이 크게 훼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업부실모형을 토대로 외감기업들의 평균 부실 확률을 진단한 결과, 부실 확률은 2019년(5.33%) 이후 매년 증가해 지난해 7.9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부실 확률이 증가했다는 건 기업들의 전반적인 재무지표가 악화됐다 의미다.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임대업과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부실 확률 상승을 이끌었는데, 이들의 부실 확률은 각각 21.4%에 달했다. 교육 서비스업(14.2%),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3.9%), 운수업(13.4%) 등도 부실 확률이 높았다.

부실 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으로, 2019년 2.6%에서 지난해 6%로 4년 새 두배 넘게 올랐다.

한경협은 ▲부동산 대출 연체율 증가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 ▲고금리 및 원자잿값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 등으로 인한 자금 경색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부실기업 증가는 금융과 실물경제 간의 리스크를 확대 재생산해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며 "부실 위험을 경감하기 위해 자금조달 금리를 인하하고 기업활력제고법상의 사업재편 제도를 활용한 선제적인 사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