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서울 인구가 비싼 집값 등의 이유로 지난 10년간 80만명 넘게 순유출됐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14∼2023년 서울에서 부산·인천·경기 등 다른 시도로 전출한 인구는 547만2000명, 다른 시도에서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461만1000명이었다.

서울에서 다른 시도로 순유출된 인구는 86만1000명에 달해 순유출을 기록한 10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유별로 보면 '주택'을 이유로 전출을 한 인구가 174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른 지역에 집을 샀거나 전세 계약이 만료되는 이유 등으로 이동한  것이다. 반면 주택 때문에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97만2000명에 그쳤다. 주택이 10년간 76만9000명의 순유출을 불러온 것으로, 높은 집값이 서울 인구의 순유출을 초래한 셈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작년 1∼11월 서울의 아파트 매매 실거래 평균가격은 1㎡당 1397만8000원이었다. 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인 전남(1㎡당 235만8000원)과는 6배에 달하고, 같은 수도권인 경기(642만3000원), 인천(500만원)보다도 2배나 높다.

서울에서 빠져나간 인구는 주변 지역인 경기·인천 등으로 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서울에서 경기로 전입한 인구가 340만5000명으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이중 주택을 이유로 전입한 인구가 136만4000명으로 '가족'(88만8000명), '직업'(68만명) 등 다른 사유보다 많았다.

서울에서 인천으로 이동한 인구는 42만7000명으로 경기 다음으로 많았다. 사유 중에서는 주택이 14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단순 계산 상으로 주택을 이유로 서울을 빠져나간 174만1000명 가운데 86.8%(151만2000명)가 경기·인천으로 간 것이다.

인구가 서울로 들어오는 주된 사유로는 '직업'이 1위였다.

10년간 다른 시도에서 서울로 온 461만1000명 중 전입 사유가 직업인 사람이 164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을 이유로 서울에서 빠져나간 인구는 134만7000명이었다. 직업이 29만4000명의 순유입을 불러온 것이다.

또 교육도 서울 유입에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교육을 이유로 전입한 사람이 44만6000명, 전출한 인구가 20만1000명으로 24만5000명이 순유입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