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비율 일제히 상승
부실 피해 기업대출 늘렸는데 가계대출 보다 심각

여의도 금융가. 사진/연합뉴스
여의도 금융가. 사진/연합뉴스

경기 불황에 대출 원리금도 감당할 수 없게 된 회사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대출 부실이 크게 늘면서 앞으로 건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7일 국민·하나·우리은행 등 사업보고서 공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대출 중 부실채권(NPL)이 크게 증가했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의 기업대출 중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022년 말 0.26%에서 지난해 말 0.42%로 0.16%포인트(p) 늘었다. 여기서 고정이하여신이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이다.

하나은행 또한 기업 부문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0.24%에서 0.29%로 올랐다. 반면 우리은행의 경우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0.23%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흐름은 가계대출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국민·하나·우리은행의 기업대출은 총 587조9772억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이 1조8593억원(0.32%)이다. 이는 가계대출 총액 432조1484억원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이 7천399억원(0.17%)으로 집계된 것과 비교해 두 배 가까이 높은 비율이다.

전년 대비 부실채권 비율 상승률 역시 기업 부문이 가계 부문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기업대출 건전성 악화를 두고  최근 은행권 기업대출이 가계대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 기업대출은 2022년 말 1170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247조7000억원으로 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1058조1000억원에서 1095조원으로 3.5% 늘어난 데 비해 두배 가까이 빠르게 증가한 것이다.

또 5대 은행으로 범위를 좁히면 지난해 기업대출이 832조6000억원에서 888조2000억원으로 6.7% 느는 동안 가계대출은 694조7000억원에서 694조4000억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올해 들어서는 이런 차이가 더 뚜렷해지고 있다. 한은은 지난달 예금은행의 기업대출이 한 달 새 8조원 증가했으며, 이는 2월 기준으로 2021년(+8조9천억원) 이후 역대 두 번째 증가 폭이다.

이를 두고 은행권에서는 정구가 가계대출을 강하게 억제하는 동안 주요 은행들이 기업대출을 늘려 이자이익을 유지하려 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