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금융 지원에 홍콩ELS 배상·과징금까지 경영부담 가중
6개 은행, 1분기 충당금 2조 전망…금감원 제재 내달 착수

서울의 한 시중은행 영업점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시중은행 영업점 모습. 사진/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의 올해 1분기 경영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역대 최대 규모의 민생금융 지원방안을 실시한 데다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의 대규모 손실에 따른 고객 배상 관련 수조원대의 충당금은 물론, 천문학적인 과징금 부과까지 점쳐지고 있어서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이번주 일제히 이사회를 열고 H지수 ELS 손실 관련 자율 배상 방침을 확정한다. 이사회의 승인이 마무리되면, 은행권은 일제히 다음달부터 개별 투자자들과 실제 배상 비율 관련 협의를 시작할 계획이다. 

6개 은행의 손실이 주로 확정된 2021년 1∼7월 판매분(2024년 1∼7월 만기 도래분)을 중심으로 손실·배상 규모를 따질 경우 올해 1분기 관련 충당금 적립 규모는 최소 약 2조원으로 추정된다.

이들 은행의 올해 1∼7월 H지수 ELS 만기 도래 규모가 모두 10조483억원에 이르고, 절반의 손실액(5조242억원) 가운데 평균 40%를 배상하는데 2조97억원 정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개별 투자자들과의 협상 결과 및 H지수 지수 추이 등에 따라 배상액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일단 1분기 실적에 충당금(비용) 형태로 쌓아둔 뒤 실제 배상액이 이를 초과하면 다시 이사회 결의를 거쳐 충당금이나 손실을 추가하면 된다. 

이번주 일제히 이사회 결의가 이뤄지면 은행들은 당장 다음달부터 H지수 ELS 투자로 손실을 본 고객들을 대상으로 자율 배상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개별 투자자들과의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은행별 배상위원회를 거쳐 배상 비율이 확정되거나, 자율 조정에 실패하면 결국 분쟁조정 또는 소송 단계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6개 은행이 판매한 H지수 연계 ELS 상품 가운데 올해 들어 지난 22일까지 3조1393억원어치의 만기가 돌아왔다. 하지만 고객이 돌려받은 돈(상환액)은 1조4942억원뿐으로, 평균 손실률이 51.2%(손실액 1조6066억원/원금 3조1393억원)로 집계됐다.

상품 만기일마다 손실률은 다르지만, H지수가 5000선 아래로 밀린 지난 1월 하순 만기를 맞은 일부 상품의 손실률은 약 60%에 이른다.

이러한 홍콩ELS 관련 충당금 부담 외에 금융당국의 불완전판매 제재에 따른 과징금도 최대 수조원대 규모에 달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르면 다음달부터 홍콩ELS 불완전판매 제재 절차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21일 "금융위원회의 법적 검토를 통해 홍콩ELS 판매사에 대한 제재절차와 제도개선 방안을 4~5월부터 본격화할 것"이라며 "(불완전판매) 원인이 무엇인지 바로 다음주부터 점검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은행 이익에 준하는 과징금을 부과해 금전적 책임을 묻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 이익 수준에 달하는 과징금인 만큼 액수가 수천억원에서 조단위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