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주주행동주의 부상과 과제'···대응 익숙치 않은 아시아권 집중
"자사주 매입외 방어수단 없어···기업 성장 위한 균형있는 제도 필요해"

한경협 FKI타워 전경. 사진/연합뉴스
한경협 FKI타워 전경. 사진/연합뉴스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받은 한국 기업이 늘고 있다. 공격적 행동주의로 수익을 올리는 헤지펀드뿐만 아니라 단순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들까지 한국기업에 대한 경영개입을 늘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김수연 법무법인 광장 연구위원에 의뢰해 작성한 '주주행동주의 부상과 과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받은 한국 기업수는 2019년에 비해 9.6배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영국 런던 소재 글로벌 기업거버넌스 리서치업체 '딜리전트 마켓 인텔리전스'의 조사 결과를 인용했다.

행동주의 펀드는 타깃 기업의 소수 지분을 매입한 뒤 경영진에게 요구사항을 전달한다.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다른 주주를 설득하거나 주주총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기업과 적대관계를 형성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보고서는 최근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내다봤다. 조사 결과 작년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행동주의 펀드 공격은 총 214건으로 지난 2022년 184건보다 16.3%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북미는 9.6% 증가했고 유럽은 7.4% 감소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 일본과 한국은 특히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지난해 피공격 기업 글로벌 순위 2,3위를 각각 기록했다. 일본의 경우 103개사가 지난해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받았다. 이는 지난 2019년 68개사에서 0.5배 증가한 수치다. 한국 기업의 경우 2019년 8개사에서 지난해 77개사로 8.6배 가량 증가했다.

김 연구위원은 "글로벌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이 한국이나 일본 등 아시아권에 집중되고 있다며 "행동주의 대응에 익숙하지 않은 아시아 기업이 먹잇감이 되고 있다"고 털어놨다.

세계적인 사모펀드 칼라일 그룹에 따르면 비상장 전환한 일본 기업은 2015년 47개사에서 2022년 135개사로 2배 이상 증가했는데, 이들의 주된 전환 사유는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한국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 외 행동주의 펀드에 대한 방어수단이 없어 일본과 같이 상장폐지를 결정하거나 상장 자체를 기피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 자본시장은 참여자의 자율성보다 정부의 규제가 강하고, 자본시장 큰 손인 국민연금도 정부 영향력 아래에 있다"며 "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지배주주 견제와 감시에만 초점을 맞출 게 아니라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균형 있게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